
직장인 김모씨(26)는 지난 19일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신안에서 여객선이 좌초됐다’는 소식을 접하고 불안에 사로잡혔다. “세월호 참사 같은 일이 다시 일어나는거 아닌가 걱정했다”는 김씨는 구조현황이 공개되고 큰 인명피해가 없다는 걸 확인하고서야 안심했다. 김씨는 “좌초 이야기를 듣자마자 세월호 생각이 난 걸 보면 당시 기억이 많이 남은 것 같다”고 했다.
지난 19일 밤 전남 신안에서 여객선 퀸제누비아 2호가 승객 260여명을 태우고 좌초되는 사고가 나자 많은 시민은 2014년 세월호 참사를 떠올렸다. 큰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일부 시민들은 당시 기억으로 인한 트라우마나 PTSD(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호소하며 밤새 불안에 떨었다.
이날 사고가 알려진 이후 20일까지 X(옛 트위터) 등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전원구조란 말만 들어도 심장이 두근거리고 불안해 믿을 수 없다’는 등 트라우마 경험을 호소하는 글이 이어졌다.

프리랜서 김모씨(40)는 사고 속보를 접하자 “손이 차게 식으며 심장이 세게 뛰었고, 세월호 사고 보도를 처음 볼 때 이미지가 번쩍이듯 떠올랐다”며 “(당시) 뉴스 화면은 물론 뉴스를 보던 노트북 프레임까지 선명하게 떠올랐다”고 했다. 김씨는 “그렇게 강한 PTSD가 있는지 자각하지 못했다”며 “세월호가 마음에 깊은 상처로 남았던 것 같다”고 덧붙였다.
세월호 참사 당시 ‘전원 구조’ 오보가 떠올라 구조 소식을 믿기 어려웠다는 반응도 있었다. 직장인 박모씨(30)는 “전원 구조 기사를 봐도 안심하긴 이르다고 생각했다”며 “세월호 참사 때도 전원 구조 오보가 있어 그때 느낀 안도의 감정에 오래도록 후회·분노를 느꼈다”고 했다. 박씨는 “(구조를 믿지 못해) 두 눈으로 뉴스 영상을 다시 확인해야 했다”며 “(이번 사고가) 전원 구조에도 없던 일이 되는 게 아니라 또 많은 이들에게 정신적 충격과 PTSD로 남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시민사회도 과거 참사의 기억이 떠오르게 한 사고였다고 지적했다. 경실련은 20일 성명을 내 “신속하고 안전한 구조가 이뤄져 정말 다행이지만, 세월호 참사의 비극과 지난해 무안 제주항공 참사의 상처를 떠올리게 한다는 점에서 결코 가볍게 넘길 일이 아니다”라며 정부에 안전을 위한 개선조치와 제도적 보완을 주문했다.
임명호 단국대 심리치료학과 교수는 “(사회적 참사 등 상황에서는) 크고 작은 차이는 있어도 전 국민이 모두 트라우마를 겪는다”며 “피해자와의 ‘동일시’나 유사한 과거의 경험을 떠올리는 ‘재경험’을 겪게 된다”고 했다. 임 교수는 “주변인들과 트라우마 경험을 나누는 게 도움이 되고, 1주일 이상 증상이 지속하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재난은 계속 반복되고 그 트라우마의 예방·치료를 위한 국가 차원의 노력도 더 필요하다”며 “기존 국가트라우마 센터 강화와 정신건강 지원 인프라 구축 등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단독] '딸 괜찮은거야?' 아빠의 문자…"세월호 생각나 무서웠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1/20/f5cc04f2-ac35-4073-a325-36fe5ae930d0.jpg)


!["주삿바늘 28곳·동물 마취제 검출"…듀스 故김성재 사망 30년, 그날의 진실은 [오늘의 그날]](https://newsimg.sedaily.com/2025/11/20/2H0IYEZ1TV_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