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AI 패권전쟁, 반도체에서 전력으로 확장...한미일 vs 중러 구도 형성

2025-11-20

전력망이 미중 AI 경쟁 판가름낼 것 예상

전력 부족 美, 한일로부터 5000억달러 수혈

중국은 러시아와 LNG 에너지 동맹 강화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미중 간에 벌어지고 있는 AI 패권 경쟁이 반도체를 넘어서 전력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 미국과 중국 모두 AI 구동을 위한 전력 확보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한·미·일과 중·러의 협력 구도가 형성되고 있다.

◆전력은 AI 성패를 판가름할 전략 자산

샘 올트먼이 이끄는 오픈AI는 지난달 보고서를 통해 "전기는 AI 분야에서 미국이 중국에 앞서 리더십을 확보하게 하는 전략 자산"이라며 미국 정부에 전력 증산을 위한 대규모 투자를 주문한 바 있다.

오픈AI는 "작년 중국이 429GW(기가와트)의 전력을 증산한 반면 미국은 51GW의 증산에 그쳤다"며 "그 차이는 미국이 뒤처지게 만드는 전력 갭(electron gap)을 초래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전력이 새로운 석유"라고 강조했다.

모건스탠리는 지난 12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미국이 데이터 센터로 인해 전력 부족 현상을 맞게 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보고서는 2028년 미국이 44GW의 전력 부족이 발생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44GW는 원자력 발전소 44기의 전력 생산량에 해당한다.

골드만삭스 역시 지난 14일 보고서를 통해 미국의 제한된 전력 용량이 2030년까지 미국 내 데이터 센터 확충의 장애물로 작용할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았다.

골드만삭스는 "데이터 센터는 이미 미국 전체 전력 수요의 6%를 차지하고 있으며, 신규 발전소 건설 부족으로 13개 지역 전력망 중 8곳의 예비 용량이 이미 임계치이거나 그 이하로 떨어진 상태"라고 설명했다.

◆한·일, 美 전력망에 5000억 달러 투자

미국은 이 같은 상황에서 전력망 확충을 위한 작업을 펼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050년까지 현재 약 100GW인 원전 설비 용량을 400GW로 확대하겠다는 장기 목표를 내걸었다. 우선 2030년까지 원전 10기 착공을 중간 목표로 제시했다. 미국 에너지부는 건설 비용을 750억 달러로 추산했다.

특히 미국은 한국과 일본의 대규모 투자를 통해 발전소 확충을 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미국에 총 3500억 달러를 투자한다. 이 중 2000억 달러는 현금(지분) 투자에, 나머지 1500억 달러는 한국이 자율권을 갖는 조선 협력 프로젝트 '마스가(MASGA)'에 할당한다. 현금 투자분 2000억 달러는 대부분이 원전과 소형 모듈 원자로(SMR)를 포함한 에너지 인프라 구축에 투자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또한 일본이 약속한 대미 투자액 5500억 달러 가운데 3320억 달러가 원전 건설, SMR 건설, 송전망 구축 등에 투자된다. 구체적으로 웨스팅하우스 주도로 AP1000 노형 대형 원전과 SMR을 건설하는 데에 총 1000억 달러를, GE와 히타치의 합작사인 GE 베로나 히타치 주도의 SMR 건설에 총 1000억 달러를 배정했다.

대략적으로 한국과 일본이 미국의 전력망에 500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단행하게 되는 것이다.

◆美와 달리 中은 충분한 전력망 확보

미국이 한국과 일본 등 동맹국의 투자를 통해 전력망을 확충한다면 중국은 자체적인 노력을 위주로 하면서 동시에 러시아와의 에너지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중국은 2021년 전력난을 겪은 바 있다. 이후 중국은 재생 에너지, 석탄 발전소, 원자로 등 전력 설비 확충에 박차를 가해왔다. 특히 중국은 2022년부터 올해까지 모두 41기의 원전 건설안을 승인했다. 이 밖에도 중국은 태양광, 풍력, 수력 발전소 건설 등에도 대규모 자금을 집행하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중국이 2030년까지 약 400GW의 예비 전력 용량을 확보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는 전 세계 데이터 센터 예상 전력 수요의 3배에 달한다. 중국으로서는 충분한 전력을 바탕으로 데이터 센터를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갈 수 있게 된다.

또한 골드만삭스는 현재 전 세계 데이터 센터 용량의 25%를 차지하고 있는 중국이 1위인 미국(44%)을 곧 따라잡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중러 에너지동맹, '시베리아의 힘 2' 급물살

중국과 러시아가 이달 들어 두 차례 총리 회담을 진행했다. 지난 3일 미하일 미슈스틴 러시아 총리가 중국을 방문해 리창(李强) 중국 총리와 회담을 진행했고 시진핑(習近平) 주석을 면담했다.

2주일 후인 17일 리창 총리가 러시아를 방문해 미슈스틴 총리와 또다시 총리 회담을 진행했다. 18일에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도 면담했다.

단기간에 두번의 총리 회담이 진행된 것은 이례적이다. 두 차례의 총리 회담 모두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건설 문제를 논의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과 러시아는 2014년 장기간 천연가스(LNG) 구매 계약을 체결했으며, '시베리아의 힘' 파이프라인 건설을 시작했다. 파이프라인은 2019년 완공됐고 러시아 LNG가 중국에 수출되기 시작했다. 이 가스관은 연간 350억 ㎥(루베)까지 운송이 가능하다. 중국은 지난해 러시아로부터 시베리아의 힘 가스관을 통해 310억 루베의 LNG를 수입했다.

중·러 양국은 '시베리아의 힘 2' 파이프라인 가스관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시베리아의 힘 2는 몽골을 경유한다. 한 해 전송 가능 규모는 약 500억 루베다.

이번 달 두 차례의 총리 회담을 통해 시베리아의 힘 2 프로젝트가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중국은 러시아로부터 수입하는 LNG를 전력 생산에 사용할 예정이다. 점차적으로 석탄 발전소를 LNG 발전소로 전환해 나가는 한편, 신규 LNG 발전소를 지속 건설한다는 방침이다.

ys1744@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