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디어= 황원희 기자] 소비자들이 식품의 환경 영향을 판단할 때 ‘어디에서 왔는가’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산 제품은 대체로 친환경적이고, 비(非)EU 국가에서 수입된 식품은 환경에 더 해롭다는 인식이 널리 퍼져 있지만, 실제 환경 부담과는 어긋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독일 괴팅겐대학교 연구진은 독일 소비자 약 1,000명을 대상으로 고추, 사과, 소고기를 예시로 제시하고, 독일산, EU 역내 국가산, 비EU 국가산일 때 각각 환경 영향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국내·EU산 제품은 환경 친화적으로, 비EU산 제품은 환경에 훨씬 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연구를 이끈 도로테아 마이어 박사는 “데이터는 매우 명확한 패턴을 보여준다”며 “특히 비EU 국가에서 수입된 식품은 실제보다 훨씬 해로운 것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국내산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친환경적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대표적 사례로 연구진은 스페인에서 난방을 하지 않는 온실에서 재배한 고추와, 난방 설비를 가동해야 하는 독일산 고추를 비교했다. 난방 에너지 사용량을 고려하면, 스페인산 고추가 독일산보다 오히려 환경 부담이 낮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생산 방식과 에너지 사용, 재배 환경 등을 무시한 채 ‘국산=친환경, 수입=유해’라는 도식으로 판단할 경우 왜곡이 발생한다는 게 연구진의 분석이다.
마이어 박사는 “지역 제품 선택에는 신선도, 지역경제 지원 등 여러 장점이 있지만, 그것이 곧 환경 측면에서 항상 최선이라는 뜻은 아니다”며 “국제 무역이 자동으로 환경 악화로 이어진다고 볼 수 없고, 특히 운송 과정의 영향이 과대평가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연구진은 이러한 인식 왜곡이 라벨 및 광고 표현과도 관련이 있다며, 단순 원산지 표시에 의존하는 현재 정보 제공 방식으로는 소비자가 올바른 지속가능성 판단을 내리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같은 연구 그룹의 아킴 스필러 교수는 “원산지 정보만으로는 충분치 않다”며 “실제 탄소발자국과 환경 영향을 보다 명확히 보여주는 기후·환경 라벨이 도입·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보다 정확한 정보 제공을 통해 소비자가 환경에 더 해로운 선택을 ‘선의로’ 하는 상황을 줄이고, 생산·유통 전 과정에 걸친 과학적 데이터를 토대로 한 합리적 소비가 가능해져야 한다고 결론지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식품 품질 및 선호도(Food Quality and Preference)’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이미디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Biz-inside,China] AI로 빚는 마오타이…中 전통주 산업, 디지털 전환 가속](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1/06/d89834d5-0dbb-4462-b15a-b7c3ce9d9af5.jpg)

![동물도 그러니까 자연스럽다? 자연에서 답을 찾는 게 오류인 까닭[BOOK]](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1/07/aa6a4472-aa1b-495c-9872-466a4ab428b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