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금융권 가계대출 6조5000억 증가…사업자대출 전수조사키로

2025-07-09

지난달 은행을 포함한 전체 금융권의 가계대출이 6조5000억원 늘었다. 지난해 10월(6조5000억원) 이후 8개월 만에 최대 증가폭이다. 수도권 집값 급등으로 부동산 시장이 과열되고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시행을 앞두고 막차 수요까지 겹친 영향으로 풀이된다. 가계대출 증가세는 오는 8월까지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은 사업자대출을 받아 주택거래에 사용하는 사례가 있는지 전수조사하기로 했다.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6월중 금융시장 동향’을 보면 지난달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5월보다 6조2000억원 증가한 1161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세자금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이 5조1000억원,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이 1조1000억원 각각 증가했다.

박민철 한은 시장총괄팀 차장은 “주택 관련 대출을 중심으로 증가세를 이어갔다”며 “5, 6월 큰폭으로 증가한 주택거래량이 시차를 두고 반영돼 7, 8윌에도 증가세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이날 공개한 ‘6월중 가계대출 동향’을 보면, 지난달 2금융권 등을 포함한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6조5000억원으로 전월(5조9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확대됐다.

가계대출을 주도한 건 주택담보대출이다. 주택담보대출은 전달보다 6조2000억원 늘었다.

지난달 28일부터 수도권 주담대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강력한 대출 규제를 시행 중인 금융당국은 이날 관계기관 합동으로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열고 사업자대출로 주택 자금을 마련하는 등의 편법을 차단하기로 했다.

금융감독원은 사업자대출을 전수 조사해 용도 외 유용 여부를 점검하고, 문제가 발견되면 대출 회수와 신규 대출을 제한할 방침이다. 또한 온라인투자연계금융(P2P)이나 대부업 등을 통해 주택 자금을 마련하려는 풍선효과가 나타나지 않도록 면밀히 관찰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는 자금출처 의심 사례와 허위 계약 신고 등을 지속 점검하고, 위법 사항에 대해서는 수사 의뢰하기로 했다. 국세청은 시장 과열 지역을 중심으로 탈세 정보 수집을 강화한다.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은 “주택시장 과열과 가계대출 신청 추이가 다소 둔화된 것은 사실이지만, 진정한 성패는 풍선효과와 우회수단을 차단해 정책을 일관되게 추진하는 것에 달렸다”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