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새 계획을 마련하고 있다고 미 온라인 매체 액시오스가 18일(현지시간) 양국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미국은 이례적으로 국방부 고위 인사를 우크라이나에 급파했다. 영토 문제를 포함한 쟁점을 놓고 공전해 온 종전 논의가 이번엔 진척을 보일지 주목된다.
보도에 따르면 미·러 양국은 총 28개 항목으로 구성된 새 우크라이나 종전 계획을 비밀리에 협의해 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측근인 스티브 위트코프 미 중동 특사가 이 계획 초안 작성을 주도하고 있다. 러 측 상대방은 러시아 직접투자펀드(RDIF) 대표이자 푸틴 대통령 경제 특사인 키릴 드미트리예프다. 두 사람은 지난달 24~26일 미국 마이애미에서 회동해 새 계획을 집중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새 계획은 우크라이나 평화체제, 안전보장, 유럽 안보, 미국·러시아·우크라이나 미래 관계 구상 등 4가지 범주로 구성돼 있다. 드미트리예프 특사는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이 올 8월 알래스카에서 합의한 원칙을 바탕으로 우크라이나 분쟁 해결과 미·러 관계 회복, 러시아의 안보 우려 해소 방안을 담은 제안서를 마련하려는 것”이라며 “광범위한 틀로, 우크라이나뿐 아니라 유럽 전체에 진정한 지속적 안보를 어떻게 가져올 것인가를 다룬다”고 액시오스에 전했다. 미·러 양국은 다음 정상회담 개최 전까지 새 계획을 문서화하는 목표를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새 계획이 종전 핵심 쟁점인 영토 문제를 어떻게 다룰지는 현재까지 불분명하다. 앞서 푸틴 대통령은 ‘알래스카 회담’ 당시 미 측에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주와 루한스크주를 포함한 돈바스 지역의 완전 할양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러시아는 루한스크주 거의 전역과 도네츠크주 4분의 3을 점령한 상태인데, 보다 많은 영토를 요구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 전선을 동결하는 조건으로 휴전을 제안한 바 있다.
러 측은 새 계획에는 자국 입김이 많이 반영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드미트리예프 특사는 “과거와 달리 러시아 입장이 진정 반영되고 있다고 느낀다”면서 “러시아가 전장에서 확실히 추가 성과를 거두고 있는 상황에서 일(계획 논의)이 진행 중”이라고 액시오스에 말했다.
백악관은 유럽 및 우크라이나와에 새 계획을 브리핑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위트코프 특사는 최근 마이애미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측근인 루스템 우메로프 국가안보국방위원회 서기와 만나 새 계획 관련 대화를 나눴다고 액시오스가 우크라이나 관리를 인용해 전했다. 다만 이와 관련한 우크라이나 측 반응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이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댄 드리스컬 육군장관, 육군 4성 장군 2명 등 국방부 고위층이 젤렌스키 대통령을 포함한 우크라이나 측과의 회담을 위해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를 향해 전날 전격 출국했다고 보도했다.
미 정부 관계자는 이들 대표단이 트럼프 대통령을 대신해 평화협상을 재개하는 임무를 맡았다고 WSJ에 전했다. 다만 미 대표단 방문이 액시오스가 보도한 새 종전안 논의와 관련이 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드리스컬 장관은 이후 러시아에도 방문해 현지 당국자들과 면담할 계획으로 전해졌다.






![[특징주] 한국항공우주, UAE와 MOU 체결 앞두고 '상승'](https://www.jeonmae.co.kr/news/photo/202511/1203443_917335_1755.jpg)

![[아이랑GO] 트럼프 제안에 북한 묵묵부답…북·미 ‘깜짝회동’ 불발…중국어도 쏙쏙 들어오는 쏙쏙만평](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1/18/1c555b3f-b732-414f-882c-d74177429362.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