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 보고서
“탈취한 이더리움, 비트코인 전환
핵심적인 역할… 이상거래 방관”
세계 최대 가상자산거래소 바이낸스가 북한 해커들의 1조원대 해킹 수익금을 세탁하는 과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ICIJ)는 17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에서 북한이 해킹으로 탈취한 암호화폐 이더리움 가운데 약 9억달러(약 1조3000억원)가 자금 세탁 과정에서 바이낸스 계좌 5개로 흘러들어간 기록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 자금은 북한 해킹조직이 지난 2월 아랍에미리트 바이비트 거래소에서 훔친 이더리움 15억달러의 일부로 추정된다.

ICIJ 분석 결과 북한 해커들은 해킹 수익금을 세탁하는 과정에서 이더리움을 비트코인으로 전환하기 위해 ‘토르체인’이라는 암호화폐 교환 서비스를 이용했다. 이 시기 5개 바이낸스 계좌와 토르체인의 거래 기록을 보면 북한의 자금 세탁이 실행된 시기로 추정되는 10일 동안에 거래량이 크게 늘었다.
바이낸스 계좌 5개가 현재도 북한 소유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다만 가상화폐 거래 추적업체 체인아고스의 조너선 라이터 최고경영자(CEO)는 “당시 시점에 그만큼의 거래량을 일으킬 수 있을 것으로 설명할 수 있는 유일한 출처가 바로 북한이 훔친 이더리움”이라고 지적했다.
ICIJ는 북한뿐 아니라 멕시코 마약 카르텔과 중국계 펜타닐 마약 밀매조직, 러시아 자금 세탁조직 등 다양한 범죄조직이 바이낸스와 OKX, 코인베이스 같은 가상자산거래소를 이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캄보디아의 대규모 사기 범죄에 연루된 것으로 알려진 후이원그룹도 2024∼2025년 바이낸스에 최소 4억달러 이상을 예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ICIJ는 이를 두고 “가상자산 거래소들이 불법자금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 충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 의문을 갖게 한다”고 질타했다.
무엇보다 이 시기는 바이낸스 창업자 자오창펑이 자금 세탁 관련 혐의로 수감 중이던 때다. 창업자가 징역형을 받은 뒤에도 범죄조직 연루 정황이 포착된 셈이다. 자오창펑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의해 지난달 사면됐다.
바이낸스는 불법행위가 발견될 경우 대응할 것이라면서도 “최고 수준의 보안을 유지하고 있다”, “가상화폐 기술상 시스템 내 입금을 차단하는 건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ICIJ는 “바이낸스는 대규모 자금 세탁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서비스(토르체인)로부터 막대한 금액을 받고 있었던 만큼 조치를 취했어야 했다”고 언급했다. 라이터 CEO도 “바이낸스가 이런 거래를 잡아냈어야 한다”며 “성능이 좋지 않은, 결함 있는 감지 도구라도 (이상거래를) 잡아냈었을 것”이라고 직격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단독] ‘고수익 코인’ 유혹해 수수료 파티… 레퍼럴 꼼수 막는다](https://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8/20251118516274.jpg)



![송금 코인 넘어 RWA 인프라로…'스텔라루멘' 반등 포인트는 [알트코인 포커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18/2H0I3S3RWB_1.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