삐빅, 혈중MZ농도 측정 중! 지금 이 순간 MZ세대가 무엇에 주목하는지 세계 곳곳의 움직임을 포착합니다. 오늘의 농도를 확인하세요. <편집자주>

중국 MZ세대(198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 출생) 사이에서 파산 직전이거나 파산한 전기차 회사의 신차를 저렴한 가격에 사들이는 소비 트렌드가 확산하고 있다. 제조사가 문을 닫으면서 재고 차량이 대폭 할인되자 가성비를 중시하는 젊은 층이 몰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10일 중국 시나경제·중화망 등에 따르면 중국 젊은 층들 사이에서 ‘네타(Neta)’, ‘엑스트레일(X-Trail)’, ‘하이파이(HiPhi)’ 등 이미 파산을 선언한 전기차 회사의 차량을 저렴하게 구매하는 것이 최근 유행으로 떠오르고 있다.
매체에 따르면 구매자 장모 씨는 최근 발품을 팔아 정가 14만9900위안(약 3043만원)짜리 네타 자동차를 7만7700위안(약 1572만원)에 샀다. 그는 “자동차 회사가 파산돼 살 수 있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소비자 관 씨도 정가 21만9900위안(약 4472만원)인 차량을 15만위안(약 3063만원)에 구매하며 “(제조사가) 파산했기에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시나경제는 이런 현상에 대해 “젊은 소비자들이 높은 가성비와 신제품에 대한 열망을 동시에 추구하면서 나타난 소비 방식”이라고 분석했다. 리옌웨이 중국 자동차판매협회 전문위원도 “일부 예산이 부족한 젊은 소비자가 파산한 자동차 회사의 차량을 구매하면서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애프터서비스, 부품 수급, 기술 지원이 어려워 향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중국의 여러 전기차 회사들은 최근 파산절차를 밟는 위기에 직면했다. 2023년 이후 수많은 신생 전기차 브랜드가 등장했지만 생산 중단·구조조정·파산 위기 등이 잇따르는 상황이다. BYD를 비롯한 주요 전기차 업체의 평균 판매가격은 2021년 3만1000달러에서 올해 2만4000달러로 떨어졌고, 완성차 업계 전체 수익률도 2017년 8%에서 2024년 4.3%로 반토막 났다.
중국 내 130여개 전기차 제조사 중 지난해 흑자를 낸 곳은 BYD, 테슬라 차이나, 리오토, 지리사 등 4곳뿐이다. 글로벌 컨설팅업체 알릭스파트너스는 “2030년까지 재무적으로 생존 가능한 업체는 약 15곳에 불과하다”고 전망했다.
비야디(BYD) 부사장 리커는 지난해 뮌헨 모터쇼에서 “중국 자동차 산업은 경쟁 속에 있다”며 “경쟁력이 부족한 기업은 생존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ET시론]K뷰티, 지속가능성에 주목해야](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0/14/news-p.v1.20251014.98c138fda4174f328f263f068a88f0f5_P3.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