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대상아동에서 래퍼로…무대에 오른 '알티오'
박정재 복지부 청년보좌역, 후원아동→후원자로
심리·경제적 홀로서기까지…많은 시행착오 겪어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지난 5일 대전광역시 동구에서 열린 보건복지부장관배 꿈나무 체육대회의 또 다른 주인공은 보호 종료가 된 자립준비청년출신 사회인들이다. 이들은 체육대회에 다시 참여해 자신과 같은 유년 시절을 보내는 보호대상아동과 자립준비청년에게 응원의 메시지를 보냈다.
자립준비청년 출신인 래퍼 알티오(본명 한재성)는 어렸을 때 보건복지부장관배 꿈나무 체육대회에 참가한 적이 있다. 그는 래퍼로 성장해 보호대상아동과 자립준비청년을 위한 무대에 올랐다. 그는 자신의 대표곡인 '빈집털이' 등을 부르며 아이들로부터 뜨거운 함성을 받았다.
알티오는 "커서 생각해 보니 체육대회에서 모르는 아동들과 친해지면서 유대감을 느꼈던 것 같다"며 "어린 시절이 생각나 최대한 긴장하지 않고 즐겁게 하려고 노력했다"고 소감을 밝혔다.
◆ 보호대상아동서 래퍼된 알티오…"보호대상아동 꿈 지키려면, 사회 관심 필요"
알티오는 8살 때 입소해 20살에 시설에서 나왔다. 래퍼가 결심하게 된 순간은 우연이었다. 고등학생 때 친구랑 무대에서 랩을 했는데, 마침 마지막 순서였다. 사람들이 모두 일어나 환호를 내뱉는 순간, 뜨거운 관심에 래퍼가 되겠다고 결심했다. 18살 때의 일이었다.
알티오는 시설에서 나왔을 때 대전에서 서울로 올라갔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소년소년가장 전세주택지원 프로그램을통해 주택 지원을 받아 주거 문제는 해결했지만, 래퍼로 앨범을 내기까지 순탄하진 않았다. 녹음에 필요한 장비를 구입해야했고 녹음하는 방법도 혼자 깨쳐야 했다.

불안정한 직업인만큼 불안하기도 했다. 슬럼프도 몇 번씩 찾아왔지만 래퍼에 대한 꿈을 놓을 순 없었다. 포기할까라는 생각이 들 때마다 열심히 하다 보면 좋은 날이 올 것이라는 생각만 하면서 작품활동을 하다보니 어느새 15개의 앨범을 만들고 34곡의 노래를 불렀다. 그의 곡에는 부모의 도움 없이 자란 그만의 경험이 녹여져 있다.
그가 가장 애정한다는 '할거야'의 곡에는 '첫 번째 집 반지하 하지만 여기로 오는 것을 탐탁지 않아 했지만 나는 여기 말고는 답이 없었기에 바로 go'라며 '하나부터 열까지 다 챙겨줄 사람 없어'라는 가사가 젹혀있다. 그는 가사에 '하나도 없지만 난 계속 챙겨야 해 사람, 사람이 없어 봤기에 더 잘 알잖아'라며 '성공과 내 친구를 챙겨서 모두 함께 가고 싶은 곳을 갈 거야'라며 포부를 담았다.
알티오는 "보호대상아동이었다고 보호를 꼭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면 강해지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을 많이 했다"며 "웬만하면 긍정적으로 생각하려고 했다"고 했다. 그는 "만일 예전으로 돌아간다면 할 수 있는 프로그램에 많이 참여해 최대한 많은 경험을 할 것 같다"며 "보호대상아동이 눈치를 보지 않고 최대한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자랐으면 좋겠다"고 했다.
알티오는 "보호대상아동이나 자립준비청년의 꿈나무를 지켜주기 위해 정부와 사회가 관심을 많이 가져줬으면 좋겠다"며 "관심을 가져주는 모습을 보이면 아동은 더 열심히 해야지 하는 마음이 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 사회복지사에서 청년보좌역으로…"정부, 지원 연결고리 역할 강화해야"
후원을 받는 아동에서 후원자로 참여한 또 다른 인물은 박정재(30세) 보건복지부 청년보좌역이다. 그는 3살에 충남 천안의 한 시설에 입소했다. 2023년 12월, 청년보좌역으로 선정되기까지 그는 많은 꿈을 거쳤다.
그의 첫 꿈은 경찰이었다. 경찰행정학과를 지원해 대학을 다녔지만 현실의 벽의 부딪혔다. 경찰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려면 공부에 집중할 수 있도록 식사, 청소 등을 도와주는 누군가의 손길이 필요한데 혼자 모든 일을 해야 하는 처지에서 현실적으로 어렵겠다는 판단이 들었다. 2년의 노력이 수포가 되는 순간이었다.
경찰을 포기한 그는 오랜 방황 끝에 사회복지사를 택했다. 자라는 동안 받은 후원을 갚는 일을 하고 싶었다. 남을 돕는 일을 고민하다가 사회복지사를 선택하게 됐다. 박 청년보좌역은 아파트 경비원 일을 하면서 사회복지사 1급 자격증을 땄다. 코로나19 당시 아동복지시설에서 실습하면서 아이들 자립을 돕는 일이 너무 좋아 보육원 아이를 키우고 지원하는 일을 했다.
그러나 사회복지사로서 한계를 느꼈다. 담당한 아이들보다 더 많은 아이들이 더 좋은 지원을 받고 잘 자랐으면 좋겠다는 마음이 들었다. 자폐성 장애 등이 있는 특수교육요구아동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냈지만 아무도 관심을 두지 않았다.

들어주지 않는다면 직접 나서는 수밖에 없었다. 박 보좌역은 복지부 청년보좌역직에 지원해 청년정책과 아동복지정책을 공무원들과 함께 만들고 있다. 원가정복귀지원센터, 면접교섭 개선, 후견인 제도 개선 등에 박 보좌역의 아이디어가 녹여져 있다.
박 보좌역은 체육대회에 후원자로 참석한 소감에 대해 "감회가 새로웠다"며 "아이들이 내일 열릴 축구대회에 대해 이야기하는데 어렸을 때 봤던 형들의 모습이 생각났다"고 했다. 그는 "축구하다가 다치면 약을 바르면 그만이지만 마음은 회복이 어려우니까 사회에 나가서 안 다쳤으면 좋겠다"고 애정어린 목소리를 냈다.
그러면서 박 보좌역은 "저도 삶이 쉽지 않았지만, 아이들의 삶을 앞으로 더 쉽지 않을 것"이라며 "좋은 어른도 필요하지만 좋은 친구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아이들이 매년 체육대회에서 만나다 보니 서로 관계가 잘 맺어져 있다"며 "보호대상아동이라는 이유만으로 생기는 끈끈함이 있어 사회에 나가서도 서로 공감하는 사이로 발전되면 좋겠다"고 했다.
정부가 추진하는 청년정책·아동복지정책의 제도 개선 및 홍보 강화 필요성도 강조했다.
박 보좌역은 "정부는 앞으로 아이들의 꿈이 다양해진 만큼 하나의 꿈에 실패했을 때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며 "취업을 도와주는 청년도전지원사업이나 고용복지플러스센터 등 다양한 지원이 있지만, 대부분 아이들은 제도를 모른다"고 지적했다.
박 보좌역은 "이같은 제도를 잘 엮어 아이들에게 잘 알리고 제공해야 한다"며 "사회복지사같은 전담 인력의 역할이 강화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어려울 때 의지할 수 있는 사회적 멘토도 중요하다"며 "멘토의 인증과 관리를 어떻게 해야 할지도 고민해야 할 부분"이라고 했다.
sdk199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