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은행, 금융당국 신속히 보고, 사후조치 강조
사건 발생 자체가 ‘내부 통제’ 실패
최근 IBK기업은행에서 발생한 부당 대출 사건은 금융권에서 내부 통제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상기시키는 계기가 되고 있다. 시행사가 200억 원을 대출받아 지은 건물들이 미분양됐고, 대출 만기를 연장할 사유가 부족했음에도 불구하고, 고액 대출을 심사하는 간부가 입사 동기였던 퇴직 직원의 청탁을 받아 이를 갱신해 주었다.
기업은행은 사건 발생 이후 이를 “자체적으로 발견하고 금융당국에 신속히 보고하며 사후 조치를 조속히 시행해 내부 통제에 문제가 없다”라고 강조하고 있지만, 사건 발생 자체가 내부 통제 시스템의 허점을 반영한다는 지적을 피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번 기업은행 부당 대출 사건은
첫째, 예방 단계에서의 통제 허술함이다. 대출 심사 과정에서 담보 가치 산정 및 거래 검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점은 내부 프로세스의 허술함을 보여준다. 특히, 담보 부풀리기와 자전 거래를 초기에 발견하지 못한 것은 내부 통제가 예방보다는 사후 적발에 치우쳐 있었음을 보여준다.
둘째, 조직 내 윤리 의식의 부족이다. 사건에 연루된 전·현직 직원 간의 유착 관계는 조직 내 윤리 의식 부족과 깊은 관련이 있다. 금융기관이 실적 위주의 문화를 강조하면서 부당 행위에 대한 유혹을 키웠을 가능성이 크다.
셋째, 감사 체계의 형식화이다. 내부 감사에서 장기간 이러한 비리를 적발하지 못한 점은 감사 체계가 형식적으로 운영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는 내부 감사의 실질적 기능 강화를 요구하는 상황을 암시한다.
넷째, 김성태 행장과 경영진의 책임 부족이다. 김성태 행장과 경영진은 조직의 내부 통제 시스템을 최종적으로 책임지고 관리해야 할 의무가 있다. 그러나 이번 사건은 경영진이 이러한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특히, 위험 관리 체계에 대한 정기적인 점검과 내부 문제를 사전에 파악하려는 노력이 부족했던 점은 경영진의 책임 회피로 비칠 수 있다. 윤리 경영과 내부 통제 강화를 조직 문화로 뿌리내리지 못한 점도 이번 사건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기업은행은 사건을 자체적으로 발견한 후 관련 지점장 및 센터장을 대기 발령하고 금융당국에 보고하는 등 신속한 조치를 했다고 밝혔다. 대출금 회수 작업도 진행 중이라고 했으나, 담보 부풀리기와 자전 거래로 인해 실질 담보 가치가 하락했을 가능성이 커 전액 회수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번 기업은행 부당대출 사건은 내부 통제가 실패할 경우 금융기관의 신뢰와 재무 건전성이 얼마나 심각하게 훼손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사건의 사후 처리와 회수 노력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예방 중심의 내부 통제 시스템 구축’이다. 기업은행 김성태 행장과 경영진은 내부 통제 시스템을 강화하고 재발 방지 시스템을 마련함으로써, 금융기관의 신뢰를 회복하고 책임 있는 모습을 보여야 할 것이다.
헬로티 멩운열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