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급 최대 수준 휠베이스로 뒷좌석 실내공간 '쾌적'
판매가 4490만원...동급 타 모델보다 높은 '가성비'
[서울=뉴스핌] 김승현 기자 = 중형 SUV 시장은 글로벌 뿐 아니라 한국 시장에서 특히 가장 경쟁이 심한 전쟁터다. 소형차를 건너뛰고 인생 첫 차로 시작하기 적당한 가격과 크기에, 어느 정도 패밀리카로서의 역할도 가능해서다.
특히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이 끝나갈 조짐이 보이는 시점에서 중형 전기 SUV 시장 선점을 위해 모든 완성차 제조사들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물론 테슬라의 모델 Y가 인지도와 판매량 면에서 여타 브랜드들을 압도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테슬라는 왠지 접근하기가 어렵게 느껴지고, 현대차와 기아의 아이오닉·EV는 너무 많아서 다른 중형 전기 SUV를 선택하려는 소비자에게 BYD코리아의 '씨라이언 7'은 좋은 옵션이다.
서울 중랑구에서 경기도 양평 일대까지 수도권 주변을 시승해 본 씨라이언 7의 가장 큰 장점은 "생각보다 넓고 무난하다"는 점이었다.

'무난하다'는 것은 여타 동급 전기 SUV들과 크게 다른 느낌이 들지 않으면서 또 특별히 빠지는 점이 없다는 의미다. 무난함을 장점이라고 본 것은 씨라이언 7이 고급 명차나 슈퍼카가 아닌 대중들을 위한 모델이기 때문이다.
대중적인 모델에 있어 가격은 상당히 중요한 요소다. 씨라이언 7의 권장소비자가격은 4490만원(환경친화적 자동차 세제 혜택 적용 후, 전기차 보조금 미포함)이다.
경쟁 모델인 테슬라 모델 Y는 트림에 따라 5299만~6314만원이다. 기아 EV5는 4855만~5340만원, 현대차 아이오닉 5는 스탠다드 기준으로 4740만~5030만원 수준에 형성돼 있다. 확실히 가격 경쟁력이 있다.


중형 SUV의 '고질적' 불만 중 하나인 뒷좌석 2열 실내공간이 부족한 느낌도 씨라이언 7에서는 잘 느껴지지 않는다. 씨라이언 7은 낮은 무게 중심과 평평한 바닥 설계를 통해 동급 최대 수준인 2930mm의 휠베이스(축간거리)와 성인 5명이 타기에 충분한 헤드룸과 레그룸을 갖췄다.
또한 트렁크 용량에 민감한 한국 소비자들의 수요에 맞게 트렁크 용량은 기본 500리터이며 60:40 폴딩 시트를 적용해 최대 1769리터까지 확장할 수 있어 실용성을 더했다.
전기차의 핵심 성능 중 하나인 1회 충전 주행거리는 환경부 기준 398km(복합)다. 저온 1회 충전 주행 거리는 385km(복합)로 추운 겨울에도 상온 대비 97% 수준에 이르는 배터리 능력을 보유했다.

또한 씨라이언 7은 전기차의 최대 장점을 잘 살려 운전석 주변부가 깔끔하다. 그러면서도 15.6인치에 달하는 중앙 디스플레이는 내비게이션이나 실내 온도 조절 등 기능에 확 트인 시야감을 준다. 심플한 실내 디자인과 구성을 선호하는 운전자들에게 최적의 선택지다.
물론 앞차와의 거리와 속도를 계산해 안전 거리를 유지하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을 비롯해 ▲차선 이탈 조향 보조 시스템 ▲후방 교차 충돌 제동 보조 ▲전방 교차 충돌 제동 보조 ▲차량 주변을 360도로 확인할 수 있는 3D 서라운드 뷰 모니터 등 최근 출시되는 전기차들이 갖추고 있는 주행 보조 및 편의사양들은 모두 갖추고 있다.

'바다사자'라는 뜻의 씨라이언 7의 외관은 BYD의 해양 시리즈 디자인에 맞춰 부드러우면서 유려한 곡선의 미학을 잘 담았다. '눈을 찡그린 듯한' 전면부 디자인에서는 다른 브랜드들의 디자인보다 독특한 매력을 느낄 수 있다.
씨라이언 7이 여타 중형 전기 SUV보다 월등하게 뛰어나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뒤처지는 점도 찾기 쉽지 않다. 아직도 '중국산'에 대한 의구심을 가지고 접근하기에 씨라이언 7은 가성비 측면에서 충분히 고려할 만한 차량이다.
kims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