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거 내 얘기잖아?"…'셀프감금' 30대 여성, 라디오 듣다 5000만원 피해 막았다

2025-10-22

“당신의 계좌가 범죄에 연루됐다. 구속되지 않으려면 안전한 곳으로 가라.”

최근 검찰이나 금융감독원 등 수사기관을 사칭한 피싱 조직이 피해자에게 숙박업소에 머물며 외부와의 연락을 끊으라고 지시하는 이른바 ‘셀프 감금형 보이스피싱’ 범죄가 급증하고 있다. 디지털 환경에 익숙한 20~30대가 새로운 표적으로 떠오르며 주의가 요구된다.

22일 경찰에 따르면 피싱 조직은 악성 앱 설치를 유도하거나 위조된 신분증·수사 문서를 제시해 피해자의 신뢰를 얻은 뒤 “수사에 협조하지 않으면 구속될 수 있다”며 협박한다. 이후 피해자를 숙박업소에 머물게 하고 외부 연락을 차단시킨 뒤 금품을 가로채는 방식이다.

지난 9월 울산에서는 서울중앙지검 검사를 사칭한 피싱범이 30대 남성 A씨에게 접근해 “외부에 알리면 구속된다”며 호텔에 스스로를 감금하도록 지시했다. 범인은 피해자에게 행동을 시간대별로 보고하게 했고, 송금을 유도했다. 다행히 경찰이 현장을 찾아 피해자를 설득해 송금 직전 현금 7900만 원을 지켜냈다.

비슷한 시기 또 다른 울산의 30대 여성 B씨도 ‘셀프 감금형’에 속아 호텔로 향하던 중 극적으로 피해를 피했다. 검찰 사무관을 사칭한 조직원으로부터 “법원 등기 배송”이라는 전화를 받은 B씨는 이후 검사 사칭범의 지시에 따라 휴대폰을 추가 개통하고 부산·울산 등 호텔 2곳에 이틀간 스스로 감금됐다. 가짜 웹사이트에서는 위조된 구속영장과 거래내역을 보여주며 “5000만원을 마련하라”고 지시하기도 했다.

B씨는 세 번째 숙박업소로 이동하던 중 택시 라디오에서 울산경찰청 소속 경찰관이 보이스피싱 사례를 설명하는 생방송을 듣고 자신이 동일한 상황임을 깨달았다. 즉시 울산북부경찰서를 찾아 피해 사실을 신고하면서 5000만원을 지켜낼 수 있었다.

경찰 관계자는 “수사기관이 국민에게 숙박업소로 피신하라거나 개인 카드를 맡기라고 요구하는 일은 절대 없다”며 “최근에는 노년층뿐 아니라 디지털 기기에 익숙한 2030세대가 새로운 타깃이 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