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탈리아와 스페인 등 유럽에서 불거진 ‘오버투어리즘(과잉관광)’ 현상이 아시아 지역으로 확산하고 있다.
3일(현지시간) CNN은 “관광객 급증으로 지역 주민의 불편과 관광지 훼손이 아시아 주요 도시에서도 심화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오버투어리즘은 관광객이 몰리면서 지역 사회의 삶의 질이 떨어지고 관광 명소가 훼손되는 현상을 뜻한다.
아시아태평양관광협회(PATA)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일본과 한국을 포함한 동북아 관광객 수는 전년 대비 20% 증가했다. 동남아 역시 비슷한 추세로, 베트남 외국인 관광객 수는 21% 늘었다.
가장 극심한 피해를 겪는 곳은 일본 교토다. 지난해 5600만 명이 찾은 교토는 관광객으로 인한 혼잡으로 출퇴근·통학이 어려울 정도다. 요미우리신문 설문에서 교토 시민의 90%가 오버투어리즘에 불만을 드러냈다. 특히 외국인 관광객의 사찰·신사 내 무례한 행동에 대한 지적이 많았다. 이에 교토시는 인기 관광지 기온 지역에서 무단 촬영을 금지하고, 호텔·여관 숙박세 상한을 1000엔에서 1만엔(약 9만3000원)으로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훗카이도대 이시구로 유스케 교수는 “외국인이 인구의 3분의 1 수준으로 늘면 일본 사회가 불균형을 느낀다”고 설명했다.
인도네시아 발리에서도 사원 내 노출 사진 촬영, 오토바이 안전수칙 위반 등 외국인 관광객의 일탈이 논란이다. 태국은 외국 관광객이 약 6% 감소했으나, 푸껫 같은 유명 관광지는 관광객 감소에도 불구하고 교통 체증과 물 부족 문제가 여전하다.
현지 당국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내놓았다. 필리핀은 지난 2018년 환경 복원을 위해 보라카이 섬을 6개월간 폐쇄한 뒤 재개장 후 관광객 수를 제한하고 무허가 숙소를 금지했다. 다만, 여전히 규정을 어기는 사례가 많은 것으로 전해졌다.

![[기자가만난세상] 구경당하는 불쾌함에 대하여](https://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3/20251103517508.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