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차잔고 급증... 공매도 재개 따른 변동성 유의
"단기 변동성은 주의해야... 외국인 수급 기대"

1년 5개월 동안 금지됐던 공매도가 오늘(31일) 전면 재개됐다. 특히 전 종목에 대한 공매도가 허용된 것은 2020년 3월 이후 약 5년 만이다.
31일 금융당국과 한국거래소는 공매도의 전면 재개와 함께 공매도중앙점검시스템(NSDS)을 본격 가동했다. 해당 시스템은 시간대별 잔고 산출 기능을 갖추고 있어 법인의 공매도 주문을 상시 점검해 불법 공매도를 즉각 적발할 수 있는 장치다.
이와 동시에 기관투자자의 자체 잔고관리시스템도 가동된다. 공매도 등록 번호별로 종목별 매도가능잔고를 실시간으로 산정해 잔고 초과 매도호가 주문을 사전 차단하는 방식이다.
공매도란 투자자가 보유하지 않은 주식을 빌려서 판 다음, 주가가 내리면 저가에 다시 매수함으로써 시세차익을 얻는 투자법이다. 통상 부풀려진 주가가 제자리를 찾고, 시장 유동성을 공급한다는 순기능이 있다.
다만 2023년 11월, 일부 글로벌 투자은행(IB)의 불법 무차입 공매도 행위가 적발되면서 공매도가 전면 금지됐다. 이후 금융당국은 불법 무차입 공매도 근절을 위해 시스템 구축, 제도 개선 등을 이어 왔다.
공매도 재개 이후 일부 종목의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에 따라 오는 5월 31일까지 두 달 동안은 단계적, 한시적으로 공매도 과열 종목 지정제도를 확대 운영한다.
한편, 공매도 재개를 앞두고 대차거래 잔고 수량이 급격히 늘었다. 대차거래 잔고는 투자자가 주식을 빌린 뒤 갚지 않고 보유 중인 물량으로, 공매도의 선행 지표로 활용된다.
지난 28일 기준 대차거래 잔고는 20억 4306만주를, 대차거래 잔고 금액은 66조 6401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8월(잔고 약 12억주, 잔고 금액 약 45조원)에 비했을 때 급증한 수준이다.
대차잔고 비율 상승률이 큰 업종은 이차전지, 조선, 철강 등으로 집계됐다. 반면 반도체, 자동차, 헬스케어, 미디어 등은 비교적 잔고가 크게 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경범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공매도 수요 산정은 결국 대차잔고 증감 종목에 주목하게 될 것"이라며 "시장 합산 대차잔고 금액 대비 비중, 거래대금 대비 대차잔고 증감률 등의 지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단기적인 변동성이 있기야 하겠지만, 그보다 외국인의 수급 증가가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시각도 나온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과거 공매도 재개 사례를 살펴보면 약 한 달 정도 개별 업종, 종목단 등에서 단기적으로 변동성은 확대됐으나 증시 추세 방향성에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며 "과거 2009년, 2011년, 2021년 공매도 재개 이후 평균적으로 코스피와 코스닥의 수익률이 중기적으로 상승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는 공매도 재개 이후 펀더멘털이 견조한 대형주가 상대적 우위를 보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며 "과거 세 차례 모두 외국인의 국내 증시 참여 비중이 모두 증가했던 것처럼, 외국인 수급 여건도 공매도 재개 이후 점차 개선될 전망"이라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외국인 수급 방향성은 국내 상장사의 펀더멘털 요인이 결정하는데, 현재 코스피에서는 반도체 업황 조기 턴어라운드 기대감이 반영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1분기 실적 시즌을 거치며 국내 증시의 이익 전망치가 반등세를 보이고 외국인 순매수 기조가 지속될 경우, 공매도 재개 이벤트는 외국인의 국내 증시 참여 유인을 제고할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