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인사청문회에서 두 자녀의 조기유학을 두고 “아이들이 희망해 (조기) 유학을 보내게 됐다”며 “진심으로 송구하다”고 했다. 이 후보자는 논문표절이나 제자논문 가로채기 의혹은 부인하거나 “연구 기여도를 반영한 것”이라고 했다. 여당에선 유보통합(유치원-어린이집 통합)을 비롯한 교육현안 질의에 이 후보자가 구체적 답변을 내놓지 못하자 “실망스럽다”고 했다. 자녀 조기유학 문제를 비롯해 이 후보자의 초중등 교육 정책 현안 숙지가 미숙한 점을 보고 여당 내에서도 ‘더 이상 감싸기 어렵다’는 기류도 감지됐다.
이 후보자는 16일 국회 교육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자녀 조기유학, 논문표절 의혹 등에 관해 사과했다. 이 후보자는 “큰 아이는 미국에서 공부하길 오랜기간 희망했는데 (처음에는) 부모의 마음으로 말렸다”며 “아이의 의지가 워낙 강해 아이의 청을 들어주게 됐다”고 말했다. 이 후보자는 둘째 자녀가 중학교 졸업을 마치지 않고 유학을 가 초중등교육법 위반을 한 점을 두고선 “너무 죄송하지만 그때는 불법인지조차 인지를 못했다”며 “저의 큰 실수였고 국민 여러분께 송구한 마음을 금할 수 없다”고 말했다.
야당에선 이 후보자가 과거 인터뷰에서 “교육의 세습과 부의 세습을 타개하겠다”고 말했지만, 정작 이 후보자는 정반대의 삶을 살아왔다고 지적했다. 서지영 국민의힘 의원이 공개한 이 후보자의 자녀들이 다닌 사립학교의 학비를 보면, 올해 기준 연 1억300만원, 2006년 기준 6000만원이다. 서 의원은 “교육의 세습과 부의 세습을 완벽하게 이룬 후보자는 공교육을 말할 자격이 없다”고 했다. 여당의 김영호 국회 교육위원장도 “자녀 조기유학은 비판 면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반성 통해 (교육정책) 대안을 잘 마련해주셨으면 한다”고 했다.
청문회 과정에선 대통령실이 이 후보자 자녀의 조기유학 사실을 알 수 있었음에도 인사 검증에 실패한 정황도 드러났다. 강경숙 조국혁신당 의원이 “(인사) 검증과정에서 (자녀의 조기유학)은 말씀하셨는지” 묻자 이 후보자는 “아이들 학력은 쓰게 돼 있다”고 답했다.
이 후보자는 논문 표절 의혹은 “모두 다른 논문”이라고 했고 제자의 논문에 자신이 제1저자로 이름을 올렸다는 지적을 두고 “기여도에 따라 반영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 후보자는 정부의 연구프로젝트를 수주해 연구 설계와 기획 등에 자신의 기여도가 컸기 때문에 논문의 제1저자에 이름을 올리는 경우가 있었다는 취지로 설명했다.
그러나 여당에서도 “스승 입장에서 제자들에게 제1저자를 더 많이 줬으면 하는 아쉬움은 있다”(김준혁 의원)는 의견이 나왔다.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 후보자의 논문 관련 소명을 듣고선 마이크에서 입을 떼고 “이해가 안가네”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 후보자는 유보통합 등 주요 초중등 교육 정책에 대해서는 숙지가 부족했다. 정성국 국민의힘 의원은 유보통합을 어디서 주관하고 있는지 묻자 이 후보자는 “교육청”이라고 답했다. 그러자 정 의원은 “유보통합은 교육부가 주도해 추진 중”이라고 반박했다. 조정훈 국민의힘은 자율형사립고, 특목고 존치에 관한 의견을 묻자 구체적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조 의원이 “교육부 장관 후보자면 입장이 있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재차 묻자 “제 소신도 사회적 합의, 현장의 목소리를 들어가면서 신중히 생각해야 하는게 이 자리라고 판단했다”고 답했다.
여당과 조국혁신당에서도 이 후보자의 교육 정책 숙지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 후보자가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의 법적지위와 관련된 국회 논의사항을 구체적으로 답하지 못하자 “지난 1년간 교육계에서 엄청난 공방이 있던 분야인데, 이 부분은 후보자의 교육적 철학이 술술 나와야 한다”며 “굉장히 실망스럽다”고 했다. 이 후보자는 정책 숙지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이어지자 “제가 부족한 점이 많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