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금융시장·금융산업 발전, 국정과제 수행을 위해 긴밀히 협조해야 한다."
이재명정부 첫 금융위원장으로 내정된 이억원 후보자는 14일 인사청문회 준비차 예금보험공사에 마련된 사무실로 출근하면서 취재진을 만나 이렇게 말했습니다. 이어 "금융위와 금감원은 원팀정신으로 유기적인 협업관계를 유지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하면서 "금감원장과 어제 통화하며 이런 취지로 얘기했고 원장도 같은 취지로 공감했다"고 전했습니다.
전날 금융위원회는 신임 금감원장으로 이찬진 국정기획위원회 사회1분과장을 임명제청했습니다. 금융위원회 설치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금감원장은 금융위원장이 제청하고 대통령이 임명합니다.
금융위-금감원 사이 관계설정은 전임정권 들어 유달리 집중조명을 받았습니다. 당시 윤석열 대통령 핵심측근으로 평가받는 이복현 금감원장이 민감한 금융업권 현안에 대해 거침없는 공개발언을 쏟아내면서 장관급부처인 금융위와 차관급인 금감원의 기관위상이 뒤바뀐 것 같다는 자조섞인 촌평이 나돌기도 했습니다.

이에 더해 이재명정부 국정기획위원회가 금융위 금융정책기능은 기획재정부로 통합하고 감독기능은 금감원과 합쳐 '금융감독위원회'를 설치하는 한편 금감원 산하 금융소비자보호처를 금융소비자보호원으로 분리하는 등 대대적인 조직개편안을 대통령실에 보고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다만 사실상의 금융위 해체안을 놓고 의견이 분분한데다 실효성과 시장혼란 우려 등으로 조직개편을 확정짓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전날 장관급 인선 관련 브리핑에서 '금융위를 기존체제로 유지하느냐'는 질문에 "정부조직개편안이 아직 확정되지 않았고 현재 금융위가 활동하고 있으므로 금융위원장 지명은 당연한 수순이라 생각해 달라"고 답했습니다.
이억원 후보자도 정부의 금융당국 조직개편에 대한 취재진 질의가 나오자 "후보자 신분인 만큼 언급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며 말을 아꼈습니다.

이억원 후보자는 이재명정부가 전면에 내세우는 생산적금융 대전환, 서민·소상공인을 위한 포용금융, 가계부채 관리, 건전한 자본시장 발전과 활성화 등 국정과제를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속도감있게 추진하겠다고 다짐하기도 했습니다.
생산적 금융에 대해서는 "한국의 금융은 부동산과 예금대출 위주로, 사회 전체적으로 보면 생산성을 높이거나 혜택이 골고루 가기보다 금융에 머물고 있다"며 "국가경제 전체적으로 부가가치를 갖는 쪽으로 자금흐름 물꼬를 빨리 근본적으로 바꾸는 게 생산적 금융의 요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억원 후보자는 "다중위기를 극복하고 진짜성장·대도약 하기 위해 그 어느 때보다 금융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시기"라며 "서민과 소상공인, 금융시장 참여자 등 다양한 목소리를 경청하고 치열한 논쟁과 열린마음, 개방적 자세로 변화를 이끌어내겠다"고 각오를 밝혔습니다.

이억원 후보자는 1967년생으로 서울 경신고·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미주리대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습니다.
행정고시(35회)로 공직 입문해 기획재정부 미래전략과장, 물가정책과장, 인력정책과장, 종합정책과장 등 주요 보직을 두루 거쳤습니다. 문재인정부 출범 후에는 경제구조개혁국장과 경제정책국장을 맡아 거시경제 정책전반에 관여했습니다.
강훈식 비서실장은 이억원 후보자에 대해 "기재부 1차관을 역임하고 한국자본시장연구원 초빙연구위원으로 활동중인 금융전문가"라며 "경제관료로 쌓은 경륜을 바탕으로 서민의 눈물을 닦아주는 금융정책과 건전한 자본시장 활성화 등 이재명정부 금융철학을 충실히 구현할 것"이라고 지명 배경을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