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해커조직, 3년간 정부 행정망 해킹…인증서·IP로 침투”

2025-10-17

정부 행정망에 침입한 해커들은 6개의 인증서와 국내외 6개 IP를 이용해 온나라시스템에 접속해 자료를 열람한 것으로 확인됐다. 무려 3년 까까이 정부 부처 자료 유출된 것이다.

국가정보원은 17일 “프랙에서 해킹 정황을 공개한 것보다 한 달 앞선 7월 해킹 첩보를 입수했다”며 “해커는 다양한 경로로 공무원들의 행정업무용 인증서(GPKI), 패스워드 등을 확보한 것으로 보이며, 인증체계를 분석한 뒤 합법적 사용자로 위장해 행정망에 접근한 것으로 밝혀졌다”고 공개했다.

국정원은 그러면서 “이후 인증서 6개 및 국내외 IP 6개를 이용해 2022년 9월부터 올해 7월까지 행정안전부가 재택근무를 위해 사용하는 원격접속시스템을 통과, 온나라시스템에 접속해 자료를 열람했다”고 확인했다.

대응 과정에서 일부 부처가 자체 운영 중인 전용 시스템에 접근한 사실도 추가 확인됐다.

국정원은 “점검 결과 정부 원격접속시스템에 본인확인 등 인증체계가 미흡하고, 온나라 시스템의 인증 로직이 노출되면서 복수 기관에 접속이 가능했으며, 각 부처 전용 서버에 대한 접근 통제가 미비한 것이 사고 원인”이라고 밝혔다.

아울럴 국정원은 △정부 원격접속시스템 접속시 ARS 등 2차 인증 적용 △온나라 시스템 접속 인증 로직 변경 △해킹에 악용된 인증서 폐기 △피싱사이트 접속 추정 공직자 이메일 비밀번호 변경 △각 부처 서버 접근 통제 강화 △소스 코드 취약점 수정 등 조처를 했다고 전했다.

국정원은 “현재 해커가 정부 행정망에서 열람한 구체적 자료내용 및 규모를 파악 중이며 조사가 마무리되는대로 결과를 국회 등에 보고할 예정”이라며 “행안부 등 유관기관과 함께 인증체계 강화, 정보보안제품 도입 확대 등 보안 강화 방안도 마련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김창섭 국정원 3차장은 “온나라시스템 등 정부 행정망은 국민의 생활과 행정 서비스의 근간인 만큼, 진행중인 조사를 조속히 마무리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범정부 후속대책을 마련해 이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