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부터 도로, 대규모 공사장 주변, 노후 상수도관 매설 도로 등 GPR 공동탐사

성동구가 지역 내 도로, 대규모 공사장 주변, 노후 상수도관 매설 도로 등을 정밀탐사해 땅 꺼짐 사고 사전 차단에 나선다.
구는 내달부터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 장비를 투입해 내달부터 본격적인 도로 하부 공동탐사를 실시한다고 24일 밝혔다.
구는 2022년부터 매년 도로 하부의 공동 위치와 규모를 정밀 탐지하는 공동탐사를 진행해 지반침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지난해까지 총 305km 구간을 탐사했다. 특히, 지난해에는 동북선 도시철도 구간에 대한 공동탐사도 완료했다.
공동 발견 시에는 천공 및 내시경 촬영을 통해 확인한 후, 유동성 채움재를 이용해 신속하게 복구하며, 규모가 큰 공동이나 지하 시설물 노후로 인해 발생한 공동의 경우에는 굴착 후 항구적으로 복구하여 위험 요소를 철저히 제거할 방침이다. 지속적인 노력으로 성동구 내 공동의 수는 2022년 54곳에서 2023년 23곳, 2024년 13곳로 해마다 감소하고 있다.

구는 지반침하의 주범으로 꼽히는 노후 하수관로에 대한 정비도 철저히 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0년~2024년) 전국에서 발생한 지반침하 867건 중 하수관 손상이 원인인 사고가 394건으로 전체의 45.4%에 달한다.
구는 2024년 기준, 최근 5년간 총 35km에 달하는 하수관로 교체 등 개량공사, 균열 보수공사 등 노후 하수관로에 대한 정비를 마쳤다. 올해에는 5건의 하수관로 개량공사를 실시해 약 2.2km 구간을 정비할 계획이다.
현장 실사, 무인카메라(CCTV) 조사 등을 통해 균열, 변형 등 구조적 결함을 확인한 후 노후 정도에 따라 정비를 실시할 예정으로, 국비, 시비, 재난관리기금 등 필요 재원 마련에도 적극적인 노력을 다할 방침이다.
이에 더해 구는 지난 2017년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해 도로 하부의 이상징후를 관찰하는 '지하공간 안전관리시스템'을 전국 최초로 도입한 데 이어, 2020년부터는 지하공간 내 상수관로를 상시 모니터링하는 '지하공간 누수진단시스템'을 구축해 운영 중으로 땅 꺼짐 현상 예방을 위한 선제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정원오 구청장은 "공동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정밀 조사로 위험 요인을 사전에 발견해 조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눈에 보이지 않는 곳까지 더욱 세심하고 면밀하게 살펴, 주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더욱 안전한 도시를 완성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전국매일신문] 이신우기자
leesw@jeonmae.co.kr
저작권자 © 전국매일신문 - 전국의 생생한 뉴스를 ‘한눈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