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디지털교과서(AIDT)가 교육 자료로 격하된 가운데 희망 학교별로 선택해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로 인해 예산 등 행정 절차상의 문제가 새로운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 4일 국회에서는 AIDT를 교육 자료로 격하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와 관련해 최근 교육부는 AI 교과서 사용을 희망하는 학교에는 계속해서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지만 구체적인 실행 방안은 제시되지 않은 상태다.
19일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에 따르면 교육부는 공문을 통해 “AIDT 서비스를 일시 중단하겠다”는 내용의 공문을 내린 것이 사실상 가장 마지막 지침이다.
이에 전북교육청은 교육부의 세부 지침을 기다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사실상 퇴출 위기에 놓였던 AIDT가 다시 학교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게 되었지만, 그에 따른 과제 또한 산적해 있다.
예산 항목 변경 문제와 학교별 AIDT 선정 등의 행정 절차를 해결해야 하기 때문이다.
기존 AI 교과서 지위의 경우에는 도교육청에서 의무적으로 예산을 지원할 수 있었지만, 교육 자료로 변경되면서 학교 자체 예산에서 부담해야 한다.
이에 따라 비싼 AIDT 구독료를 지불해야 하는 학교의 부담이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전북교육청에서 확보된 AIDT 예산을 학교에 지원하기 위해서는 예산의 ‘이용’ 절차를 통해 용도를 전환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전북특별자치도의회의 승인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다소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한다.
이 외에도 AIDT를 교육자료로 활용하려면 각 학교에서는 학교운영위원회를 열어 심의를 다시 거쳐야 한다.
1학기에 AIDT를 사용한 학교의 경우에도 이 같은 절차를 다시 밟아야 한다.
또 기존에는 발행사와 교육부가 계약을 진행했지만, AI 교육자료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학교와 발행사가 직접 계약을 해야 한다.
이에 대해 전북교육청 관계자는 “교육부의 대책이 정확하게 나온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학교의 혼란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다”며 “교육 자료로 활용하는 것은 확정돼 학교에서 이를 잘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정은 기자
저작권자 © 전북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