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PA, 국제공동연구로 AI 자율운항 선박 기술 개발 착수

2025-11-05

부산항만공사(BPA)가 캐나다와 손잡고 인공지능(AI) 기반 자율운항 선박 핵심기술 개발에 나선다.

BPA는 ‘선박 장애물 탐지 및 충돌 회피를 위한 전방위 상황 인식 멀티모달 AI 시스템 개발’ 연구과제에 본격 착수한다고 5일 밝혔다. 한-캐나다 국제공동연구 방식으로 3년간 진행되며 국내 케닛·부산테크노파크·전남대산학협력단과 캐나다 해양 감시 전문업체 커런트 사이언티픽(Current Scientific Corporation) 등 5개 기관이 참여한다.

연구의 핵심은 파노라마 적외선 영상 기반 센서 기술을 활용해 야간이나 안개, 비 등 악천후에서도 장애물을 정밀하게 탐지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현재 항만 자율운항 보조시스템은 레이더, AIS(선박자동식별장치), ECDIS(전자해도표시정보시스템) 등에 의존하지만, 소형선박에는 미탑재된 경우가 많고 제한시계에서는 인식률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특히 이번 과제는 기존의 단순 경고 기능을 넘어 AI를 활용해 장애물 탐지부터 위험 평가, 충돌 회피 판단, 경로 재계획까지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의사결정 구조를 구현한다. AI가 장애물을 발견하면 스스로 위험도를 평가하고 최적의 회피 경로를 제안하는 방식이다.

자율운항 선박 기술은 해운업계의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해양사고를 줄일 수 있는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연구가 성공하면 부산항의 안전성과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송상근 BPA 사장은 “이번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부산항이 항만 자율운항선박 트렌드를 선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