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항공, 7년 만에 부채비율 1000% 아래…대한항공 통합 시너지 기대

2025-08-20

상반기 부채비율 827%, 지난해 말 1238% 대비↓

2분기 영업익 340억원 흑자…여객 호조가 주효

[서울=뉴스핌] 김정인 기자 = 아시아나항공이 7년 만에 부채비율을 1000% 아래로 낮추며 재무 개선에 속도를 내고 있다. 상반기 말 부채비율은 827%로 내려왔고, 2분기 영업이익도 흑자 전환에 성공해 실적과 재무가 동시에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20일 아시아나항공이 공시한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회사의 상반기 말 부채비율은 827%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 1238%에서 400%포인트 넘게 떨어지며 7년 만에 1000% 아래로 내려왔다.

부채비율 하락에는 지난해 말 대한항공이 참여한 1조5000억원 규모 유상증자 효과와 함께 올해 들어 이어진 실적 개선이 맞물렸다. 상반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3조4186억원으로 전년 대비 501억원 늘었고, 영업이익은 261억원을 기록해 1년 새 886억원 증가했다.

특히 2분기에는 비수기임에도 매출 1조6756억원, 영업이익 340억원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환율 하락도 순이익 개선에 기여하며 외화환산이익 효과로 당기순이익은 2332억원을 기록했다. 업계에서는 아시아나항공이 이미 전용 화물기 사업을 매각한 만큼, 매각 대금 유입이 본격화되면 추가적인 부채 축소 여력도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 여객 호조·화물 부진, 노선 확대 전략

여객 부문은 5~6월 연휴 수요와 미주·유럽 신규 노선 증편, 중국 무비자 입국 시행에 힘입어 매출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늘었다. 특히 중국 노선 매출은 66% 증가해 전체 비중이 12%까지 확대됐다.

반면 전용 화물기 부문은 매각이 진행되면서 2분기 매출이 전년 대비 13.6% 줄어든 3712억원에 그쳤다. 아시아나항공은 향후 전용 화물 대신 여객기 하부 공간(벨리 카고)을 활용해 반도체 부품, 신선식품 등 긴급 물류 수요를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아시아나항공은 "미주·일본 등 고수익 노선 확대, 연휴 수요에 대한 탄력적 공급 증대, 항공기 가동시간 제고 등 운영 효율화를 통한 수익성 개선 노력이 주효했다"고 설명했다. 또 상반기 정비비는 전년 대비 16% 줄었고, 유류비도 12% 감소하면서 비용 절감 효과도 실적에 반영됐다.

◆ "대한항공 통합 측면에서 여객 경쟁력 주목"

업계에서는 대한항공과의 기업결합 과정에서도 아시아나항공의 재무 개선이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화물기 매각 대금 유입이 본격화되면 추가적인 부채 축소도 가능해져 재무 안정성이 한층 강화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나온다.

안도현 하나증권 연구원은 "대한항공과의 기업결합 측면에서 아시아나항공에서 확인해야 할 점은 수요가 탄탄한 노선을 얼마나 보유하고 있는지, 부채가 얼마나 축소될 것인지 두 가지"라며 "기업결합 이후 항공운임은 대한항공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상승 가능하기 때문에 수익성보다는 여객 경쟁력이라는 큰 그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다만 부채비율이 크게 낮아졌음에도 여전히 800%대에 머물러 있다는 점은 부담이다. 글로벌 유가와 환율 변동성, 화물 수요 둔화 등 대외 변수도 여전하다. 업계 관계자는 "유상증자와 일회성 요인이 아닌, 항공업 본연의 영업이익과 현금흐름으로 재무를 개선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라며 "통합 항공사 출범과 맞물려 중장기적 체질 개선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kji01@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