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심 하루라도 빨리 바꿀래"…정보 유출 불안에 대리점 몰려든 SKT 가입자들

2025-04-27

내부 서버 해킹으로 가입자 유심(USIM) 정보가 일부 탈취된 SK텔레콤 이용자들이 유심 무상 교체 시행 전에도 유심을 교체하기 위해 전국 SK텔레콤 대리점에 몰렸다.

SK텔레콤은 오는 28일 오전 10시부터 전 고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유심을 무상으로 교체해 주겠다고 지난 25일 밝혔다. 이와 함께 19~27일 기간 자비로 유심을 교체한 고객들에게도 통신 요금 감면을 통해 유심 비용을 환급해주겠다고 했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주말 서울 등 전국 곳곳의 SK텔레콤 대리점에는 유심 교체를 하려는 가입자들이 몰렸다.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는 유심 재고가 없어 발길을 돌렸다는 사연도 다수 올라왔다.

평상시 일일 유심 교체 수요는 1000장 정도다. 하지만 이번 사태로 유심 정보가 탈취됐을 수 있다는 불안감이 커지면서, 25~26일 양일간 하루 수만 명의 가입자가 유심 교체를 위해 SKT 대리점을 방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유심 무료 교체가 공식적으로 시작되는 28일 무렵에는 유심 공급량이 부족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번 유심 무료 교체 대상자는 SK텔레콤 가입자 2300만명과 SK텔레콤의 통신망을 이용하는 알뜰폰 가입자 187만명을 합쳐 2500만명에 육박한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3시간을 기다린 끝에 겨우 유심을 교체했다” 등의 경험담이 이어지고 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28일 오전 10시까지 최대한 유심 물량을 확보할 것”이라며 “대리점에 방문했을 때 유심이 없을 경우 다음 방문 일시를 예약해 추후 다시 유심을 교체할 수 있고,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도 유심 정보 악용을 막기 위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했다. 유심 보호 서비스는 통신사에서 개통한 휴대폰이 아닌 다른 휴대폰에서 이용자의 정보와 일치하는 유심을 꽂았더라도 통신망에 연결되지 않도록 해주는 서비스다.

카카오뱅크·PASS 등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명의 도용 방지 서비스’ 역시 안전 장치 중 하나로 거론되고 있다. 이 서비스는 이용자의 명의를 도용해 새로운 통신 서비스에 가입하는 것을 차단한다. 이 때문에 탈취한 유심 정보로 원 가입자의 명의를 도용해 새 휴대폰을 개통하는 ‘심 스와핑’ 공격을 방어할 수 있다.

이 같은 정보가 공유되면서 해당 어플의 가입정보 조회 및 제한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몰리면서 주말 한때 접속 장애가 빚어지기도 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