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저지·버지니아 주지사와 뉴욕 시장 등을 새로 뽑는 선거가 4일 치러진다. 전국 단위는 아니지만 지난해 11월 대선에서 승리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집권 1년 차에 실시되는 선거다. 2기 트럼프 행정부에 대한 첫 평가이자, 1년 뒤 실시될 중간선거의 전초전 성격이다.

주지사 선거와 뉴욕 시장 선거에선 모두 민주당 후보가 우세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버지니아에선 민주당 후보 애비게일 스팬버거 전 하원의원이 공화당 후보인 윈섬 얼 시어스 부지사를 다수 여론조사에서 오차범위 밖으로 앞서고 있다.
뉴저지주에선 민주당 후보인 미키 셰릴 하원의원이 공화당 후보인 잭 치터렐리 전 뉴저지주 의원에 오차범위 내에서 박빙 우위를 점하며 접전 양상이다. 뉴욕시장 선거에선 민주당 후보인 조란 맘다니 뉴욕주 하원의원이 무소속으로 출마한 앤드루 쿠오모 전 뉴욕주지사를 두자릿 수 격차로 따돌리고 있다.
그렇다고 민주당으로선 마냥 안심할 수만은 없는 분위기다. 여론조사 분석사이트 리얼클리어폴리틱스(RCP)가 집계한 여론조사 최신 평균치를 보면 민주당의 호감도는 33.9%로 공화당의 41%보다는 낮다. 1년 전 대선 참패의 여파를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다.

연방정부 셧다운(일시 업무정지) 사태의 불똥이 어디로 튈지도 관건이다. 공화당과 민주당 이견으로 내년도 예산안 처리가 지연되면서 지난달 1일부터 셧다운 사태가 한 달 넘게 지속되고 있다. 급기야 농무부는 지난 1일부터 저소득층 4200만명에 대한 식료품 보조금 지급을 중단했다. 셧다운 여파로 해당 재원이 바닥났다는 이유에서다. 식료품 보조금 지급이 중단된 건 1964년 제도 도입 이후 처음이다.
이를 의식한 듯 민주당 후보들은 셧다운을 비롯한 경제 문제를 집중 공략하고 나섰다. 악시오스 보도에 따르면 민주당의 뉴저지·버지니아주 후보와 뉴욕시장 후보 모두 최저임금 인상 또는 생활비 경감을 공약했다. 악시오스는 “민주당은 경제와 생활비가 부동층 유권자들을 움직이는 핵심 요인이라고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유권자들도 후보를 뽑을 때 경제 문제를 가장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이터통신이 지난달 15~20일, 미국인 438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40%가 생활비 문제가 내년 11월 선거에 중요한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답했다. 다음으로 민주주의(28%), 이민 문제(14%), 범죄(9%) 순으로 응답률이 높았다.

퇴임 후 대외적인 활동을 자제하던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버지니아·뉴저지주 유세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도 민주당 지지세 회복에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오바마 전 대통령은 급진 좌파 성향의 맘다니 민주당 뉴욕시장 후보에게 지난 1일 격려 전화를 했다.
이번 선거를 기점으로 향후 미국 정치의 양극화가 더욱 극심해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CNN은 3일 “이번 지방선거는 미국이 공화당과 민주당이라는, 서로 다르고 점점 더 적대적인 집단으로 분열되는 과정에서 하나의 이정표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갈수록 공화당과 민주당 우세 지역이 뚜렷하게 나뉠 것이란 뜻이다.
내년 11월 선거를 앞두고 양당 간 선거구 재조정 경쟁도 본격화할 것으로 관측도 나온다. 공화당은 상·하원에서 살짝 우세를 점하고 있다. 민주당이 내년 상·하원 중 하나라도 탈환한다면 트럼프 대통령의 남은 임기 동안 주요 정책엔 줄줄이 제동이 걸릴 가능성이 크다.




![[사설] 막 오르는 예산 심사, ‘밀실’ 벗어나 민생에 초점 맞춰야](https://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2/20251102510656.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