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손보험 청구 전산화, 2단계 확대 앞두고...이용자 체감은 ‘아직’

2025-10-24

(조세금융신문=이유린 기자) 내일(25일)부터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가 의원·약국으로 확대 시행되지만, 실제 이용자 체감은 여전히 크지 않다. 종이 영수증을 제출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병원마다 제도 도입 상황이 달라 청구 과정이 혼란스럽고 절차가 간편하다는 인식도 뚜렷하지 않다.

본지에 익명을 요구한 30대 여성 A씨는 지난 9월 정형외과 진료 후 실손24 앱을 이용해 보험금을 청구했지만 “병원에서 받은 내역서를 사진으로 찍어 업로드하는 기존 방식과 큰 차이가 없었다”고 말했다.

서류 제출 절차가 사라졌다는 점은 개선점으로 꼽히지만, 여전히 앱 설치와 로그인, 정보 입력 등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는 점에서 ‘간편함’과는 거리가 있다는 지적이다.

그는 “병원마다 제도 도입 상황이 달라, 어떤 곳에서는 실손24를 이용해야 하고 다른 곳에서는 기존 방식으로 청구해야 하는 등 소비자 입장에서 혼란스러울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아직 병원들의 참여율이 낮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제도가 더 보편화되고 불편한 점들이 개선된다면 앞으로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보험업계는 전산화 확대가 장기적으로 보험금 절차를 간소화하고 소비자 만족도를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보험 청구 과정이 전산화되면 고객이 빠르게 보험금을 받을 수 있고, 보험사 입장에서도 신속한 보상처리가 가능해진다”며 “종이 영수증 분실이나 훼손 등 불편을 줄일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일부 보험업계에서는 전산화 과정에서 보험사가 환자 정보를 과도하게 수집하거나 활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에 대해 보험업계 관계자는 “실손보험 청구 과정에서 전달되는 정보는 원래 고객이 보험금 청구를 위해 제출하는 자료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우려에도 제도의 정착과 활성화를 위한 움직임은 이어지고 있다.

금융위원회와 유관기관은 이번 2단계 확대를 계기로 ‘실손24’의 참여 병원과 약국 수를 늘리고, 이용자 불편사항을 지속 점검한다는 방침이다. 제도 정착을 위해서는 병원 연계율 확대와 사용자 경험(UI) 개선 등 기술적 보완과 함께, 소비자 우려를 줄이기 위한 개인정보 보호 체계 강화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