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20일 올해 공적개발원조(ODA) 규모를 6조 5010억 원으로 확정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국제개발협력위원회 회의를 주재하고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25년 국제개발협력 종합 시행계획’을 의결했다.
올해 ODA 총규모인 6조 5010억 원은 지난해 대비 3.8% 증가한 수준이다. 앞서 정부는 2030년까지 ODA 총규모를 2019년(3조 2000억 원) 대비 두 배 이상 늘린다는 계획을 세웠는데, 이런 목표를 5년 앞당기게 됐다.
정부는 이를 바탕으로 올해 1928개의 ODA 사업을 추진한다. 지난해와 비교해 총사업 개수는 줄었지만 사업당 평균금액은 늘려 더욱 내실 있게 추진한다는 설명이다. 올해 무상분야 사업당 평균금액은 2016년(10억 4000만 원) 대비 두 배인 20억 8000만 원이다.
정부는 이날 ODA 통합 사업체계 강화, 지속 가능한 사업 관리 체계 구축 등의 내용이 담긴 ‘한국 ODA 발전 방안’도 의결했다. 정부는 이러한 발전 방안을 토대로 2026∼2030년에 적용되는 ‘제4차 국제개발협력 기본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최 권한대행은 “양적 확대와 함께 사업을 내실화하고 효과성을 높여 우리의 ODA를 한층 더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며 “관행적 사업은 줄이고 인프라·컨설팅 등을 패키지로 지원하여 사업간 시너지 효과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ODA 사업의 효과성과 가시성을 높일 수 있는 대형 시그니처 사업을 확대하겠다”며 “ODA가 수원국에 힘이 되고, 우리 국민에게는 자긍심과 자부심을, 기업에게는 새로운 기회와 돌파구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