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톡] 강하늘 "난 영끌족과 정반대 스타일…작품 흥행 크게 생각 안해"

2025-07-21

[서울=뉴스핌] 최문선 기자 = 배우 강하늘이 넷플릭스 영화 '84제곱미터'에서 내 집 마련을 위한 영끌족 우성 역을 연기하며 또 다른 얼굴을 꺼내들었다. 밝고 유쾌한 이미지 대신, 내면의 분노와 불안을 눌러담은 청춘으로 변신했다.

21일 강하늘은, 종로구 한 카페에서 '84제곱미터' 공개 인터뷰를 가졌다.

'84 제곱미터'는 84제곱미터 아파트로 내 집 마련에 성공한 영끌족 우성(강하늘)이 정체를 알 수 없는 층간 소음에 시달리며 벌어지는 예측불허 스릴러다.

강하늘은 "반응을 잘 찾아보진 않는데 가족들이 연락을 많이 줬다. 특히 친척형이 비슷한 경험이 있다고 연락을 줬다. 심장이 너무 아프다는 반응이었다. 이 외에는 '현실감이 넘쳐서 답답해하면서 봤다', '재밌게 봤다'는 반응이 많았다"며 인터뷰를 시작했다.

강하늘은 "보통 대본은 읽는 사람을 이해시키기위해 써 있다. 이 작품의 대본은 연출을 하기 위해 적은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 대본이 간소화돼있었고 대본을 보녀서 감독님의 스타일이 어떨지 그려졌다"며 "내가 예상했던 감독님의 스타일이 거의 100% 일치했다"고 말했다.

이어 "감독님은 굉장히 디테일하셨는데 촬영을 할 때, 하나 허투로 넘어가는 게 없고 특히 인서트에서 힘을 많이 주셨다. 그래서 항상 긴장을 하고 있어야했다. 땀 한 방울 흘리는 부분, 손이 떨리는 부분 등 세심한 디테일이 곳곳에 많았다"며 "우성이가 땀을 흠뻑 흘리는 장면이 있었다. 촬영을 하다보면 땀에 젖은 분장이 마른다. 그런데 젖은 느낌을 똑같이 유지하기 위해 신 중간 중간에 물이 담긴 스프레이를 계속 뿌렸다. 그런 것들 덕분에 현실감이 더 추가됐던 거 같다"고 설명했다.

강하늘이 연기한 우성은 내 집 마련을 위해 주택담보대출, 퇴직금, 땅, 말 그대로 영혼까지 탈탈 끌어 모아 아파트를 매매한다. 이에 강하늘은 "나는 한 캐릭터를 연기를 하려면 두 가지 중에는 하나는 있어야한다. 공감이나 이해다. 나는 우성이와는 정반대의 기질을 갖고 있어 우성이한테 공감은 못 했다. 나는 하나에 올인하는 스타일은 아니다. 나같은 경우는 그래도 하나의 비상구는 남겨놨을 거 같다. 영끌하는 스타일은 아니다. 주변 친구들 중에 그런 친구들이 꽤 있어서 그런 친구들을 떠올리기도 했다. 공감은 못했지만 어떤 상황이고 어떤 마음인지는 이해했다"고 털어놨다.

강하늘은 극을 처음부터 끝까지 끌고가는 역할을 했는데 "특별한 준비는 필요 없었다. 다른 분들이 하는 정도로 준비를했다. 단지 '어떻게 더 재밌게 찍을까' 하는 기대감이 더 컸다. 어느 작품을 하든지 부담감보다는 '어떻게 찍을까'하는 기대감이 가장 크다. 재밌게 찍기 위해서 다른 연기자들이랑도 재밌게 지내려고 했다"고 밝혔다.

이어 "현장에서 나를 만난 사람은 E(외향형)라고 생각하지만 난 극 I(내향형)다. 작품의 흥망이 중요하지 않다는 건 아니지만, 내가 했던 작품을 떠올리면 '작품이 흥했나'는 하나도 생각이 안 난다. 그저 그 작품을 찍었을 때 분위기나 재밌었던 순간이 떠오른다. 그 현장을 얼마나 즐겼냐가 중요하다. 지금 생각해봐도 흥망보다는 즐거웠던 순간이 떠오른다. 흥망은 내가 정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다. 그렇지만 그 날 하루 촬영을 재밌게 만드는 건 내가 선택할 수 있다. 나는 최대한 작품을 즐겁게 찍으려고 노력한다"고 말했다.

강하늘은 "나와 함께 작업을 한 사람들이 '강하늘이라는 사람이랑 같이 현장에 있어서 재밌었다'라고 생각하는 것이 내 목표다. 나와 함게 있었던 장면을 기억하기 싫은 장면이 되지 않기 위해서 노력한다. 단역들, 가끔씩 오는 연기자들이랑 조금 더 장난도 많이 치고, 이런 저런 얘기를 하려고 노력도 많이 한다"며 연기적 목표로도 같은 답변을 내놨다.

가장 치열하게 촬영한 신으로 '경찰서 신'을 뽑았다. 비트 코인을 매도해야하는 순간, 우성은 폭력 사건으로 경찰서에 연행돼, 매도를 할 수 없는 상황에 놓인다. 이에 우성은 경찰서장 방으로 출입해 매도를 위해 사투한다. 그는 "우리가 경계했던 것은 코미디처럼 웃기게만 나가지 않도록 고민했다. 웃픈 느낌, 블랙코미디같은 느낌을 만들고싶었다" 결과적로 봤을 때는 원했던 대로 나온 것 같다"고 말했다.

강하늘은 올해 스트리밍, 야당, 오징어 게임, 84제곱미터 등으로 관객들을 만나며 '다작왕'으로 불리고 있다. 이에 강하늘은 "2~3년 동안의 촬영본의 공개가 겹친 것 뿐이다. 공개를 내가 결정하는 건 아닌데 올해 몰릴 거라고 생각도 못했다. 2~3년동안 촬영할 때는 주변에서 너무 쉬는 거 아니냐고 말했다. 나는 안 쉬고 있는데 공개 되는 게 없어서 그렇게들 말을 했다. 지금은 주변에서 좀 쉬라고 말한다"고 웃으며 말했다.

강하늘은 "특별히 도전해보고싶은 장르는 없다"고 말하다가 "지금 갑자기 떠오른 게 있다. 언젠가는 애니메이션 성우를 도전해보고 싶은 마음이 있다. 큰 역할은 안 되고 잠깐 잠깐 출연하는 역할을 하고 싶다. 큰 역할은 전문 성우가 하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며 '큰 역할에 도전해보라'는 취재진의 말에 "큰 역할은 절대 안된다"고 손사레 치며 말했다.

끝으로 강하늘은 "지금 볼 수 있는 작품들 중에 가장 극현실주의의 작품일 것 같다. 조금 더 현실적인 일들에서 올 수 있는 스릴러 장르르 보고싶다면 시청해봐도 나쁘지 않은 선택일 거 같다"며 시청을 당부했다.

moonddo00@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