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내 한국 핵무장' 응답 1년새 25→40%

2025-02-13

한국의 핵무장 가능성을 전망하는 전문가들이 1년 새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현지 시간) 미국 싱크탱크 애슬랜틱카운슬이 전 세계 60개국 글로벌 전략가와 전문가 357명을 상대로 실시한 ‘글로벌 예측 2025’ 설문 조사에 따르면 ‘향후 10년 안에 핵무기를 가질 가능성이 큰 나라’로 한국을 지목한 응답이 40.2%로 집계됐다. 이란(72.8%), 사우디아라비아(41.6%)에 이어 세 번째다. 일본(28.6%), 우크라이나(14.9%), 대만(7.9%)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특히 한국은 1년 전 조사에 비해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지난해 조사에서 한국의 10년 내 핵무장을 예상한 전문가는 25.4%에 그쳤지만 이번에는 14.8%포인트나 상승했다.

북한의 핵·미사일 역량이 갈수록 고도화하고 있는 데다 우크라이나 전쟁에 북한군이 파병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향후 10년 안에 핵무기를 사용할 것으로 예상하는 나라에 대해서는 북한이 24.2%로 러시아(25.9%)에 이어 두 번째에 올랐다. 1년 전 조사 때는 15.2%였다.

한편 이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앨리슨 후커 전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아시아 담당 선임보좌관을 국무부 정무차관에 지명했다. 후커 전 보좌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 때 백악관에서 대북 협상 실무를 맡은 북한통이다. 정무차관은 국무부의 지역과 양자 정책 현안 전반을 관장하는 국무부 ‘3인자’로, 한국 업무를 담당하는 동아시아·태평양국을 비롯한 지역별 정책국을 관할한다. 후커 전 보좌관이 상원의 인준을 통과해 정무차관에 임명되면 트럼프 2기 행정부 내 미북 정상회담 관여 인사가 늘어나게 된다.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국무부 북한 담당 차관보를 지낸 앨릭스 웡은 지난해 11월 일찌감치 백악관 국가안보 부보좌관으로 발탁됐다. 또 미북 정상회담 등을 준비·실행했던 윌리엄 보 해리슨은 대통령 보좌관 및 백악관 운영 담당 부비서실장으로 임명됐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