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밝은 빛 뒤에는 달의 어두운 면이 숨어 있으며, 그곳은 상처와 흘리지 않은 눈물로 가득 차 있다.”
이런 문구로 소개된 진은숙(사진)의 오페라 ‘달의 어두운 면(Die dunkle Seite des Mondes)’이 18일(현지시간) 독일 함부르크 국립 오페라 극장에서 초연됐다. 양자 물리학의 천재과학자, 초자연적인 능력을 지닌 의사, 꿈과 현실의 경계에 있는 여성이 등장하는 이야기다. 진은숙은 세계적으로 주목받은 첫 오페라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2007년 뮌헨에서 초연한 후 18년 만에 두 번째 오페라를 무대에 올렸다.

무대는 천장에 매달린 커다란 달, 그 사이를 향해 올라가는 계단들, 1930년대의 비인간적인 현실을 묘사한 차가운 배경으로 구성됐다. 또 무대 위에 설치된 카메라의 영상이 라이브로 상영되는 독특한 시도도 있었다. 타악기가 활에 긁히는 소리, 사포가 문질러지는 소리 등 진은숙의 음악에서 중요한 요소인 타악기 역시 강조됐다. 특유의 다양한 색채감이 두드러지는 음악이다.
함부르크 국립 오페라 극장의 위촉으로 작곡된 이 오페라를 위해 진은숙은 독일어로 단편 소설 정도 분량의 이야기를 썼으며 대본도 집필했다. 물리학자 볼프강 파울리(1900~58)의 삶에서 영감을 얻었다. 여기에 파울리와 교류했던 심리학자 카를 구스타프 융(1875~1961)의 존재도 등장한다. 하지만 진은숙은 등장인물들의 이름을 키론, 아스타로스로 새로 만들고 상상력을 자유롭게 펼쳤다.
특히 이 이야기는 괴테의 ‘파우스트’를 연상케 한다. 물리학자 키론은 존경받는 학자이지만 내면에서는 자신을 실패자라 느끼고, 인생에 대한 질문을 해결하지 못해 괴로워한다. 영혼을 치유하는 아스타로스는 키론의 고민을 해결해주는 듯하지만 결국 키론의 정신을 지배하는 자로 묘사된다. 여기에서 주인공에게 폭탄 제조를 강요하는 동료 과학자들의 모습은 20세기 전쟁의 역사를 떠올리게 한다.
진은숙은 함부르크 국립 오페라 극장과 사전 인터뷰에서 “이 오페라를 통해 ‘악’이란 무엇인지, 인간은 왜 이런 존재인지에 대한 질문을 탐구하고자 했다”고 밝혔다.
진은숙은 사전 인터뷰에서 한국의 상황 또한 언급했다. “오페라의 마지막 장면인 10번 장을 지난해 11월 쓰기 시작했다.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이 다시 권력을 잡고 한 달 후 한국의 대통령이 갑자기 계엄령을 선포했다. 나는 극도의 공포에 빠졌다.” 진은숙은 “나는 한국에서 24년간 군사 독재 체제에서 살았고 그 시절은 끔찍했다. 부정적인 기억이 되살아났다”며 “직접적인 방식은 아니지만, 그 감정의 일부가 대본에 반영됐다”고 했다. 오페라의 배경은 1930년대 초반이다.
18일 초연된 ‘달의 어두운 면’은 함부르크에서 21·27·31일, 다음 달 5일 추가 공연된다. 진은숙과 20년 넘게 함께 작업해온 지휘자 켄트 나가노가 지휘를 맡았으며 바리톤 토마스 레만(키론), 보 스코프스(아스타로스), 시오반 스태그(미리엘)를 비롯해 한국의 카운터테너 김강민, 소프라노 손나래가 출연한다. 진은숙은 지난해 클래식 음악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에른스트 폰 지멘스 음악상을 수상했다. 2022년부터 통영국제음악제의 예술감독을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