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 안에 ‘언젠가 쓰겠지’ 하며 쌓아둔 물건들. 하지만 그날은 좀처럼 오지 않고, 결국 먼지만 쌓이거나 공간만 차지한다. 전문가들은 “집안에 자리만 차지하는 불필요한 물건을 과감히 버리는 것만으로도 생활 만족도가 높아진다”고 조언한다. 정리해도 절대 후회하지 않을 10가지를 소개한다.
1 오래된 잡지·신문. 세월이 지나면 정보 가치는 떨어지고, 결국 먼지 덩어리만 된다. 필요한 정보는 이미 온라인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또 오래 쌓아둔 ‘언젠가 읽을 책’은 대부분 끝내 펼치지 않는다. 읽지 않을 책은 기증하거나 판매해 다른 이의 손에 가도록 하는 게 현명하다.
2 고장 난 물건. 오랫동안 고쳐 쓰지 않은 의자, 깨진 화병은 결국 짐일 뿐이다. 수리할 계획이 없다면 과감히 버려야 한다. 쓰지 않는 구형 휴대폰이나 리모컨은 집안 곳곳에 쌓이기 쉽다. 재활용 센터를 통해 안전하게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닳아빠진 신발. 쿠션이 꺼진 운동화나 굽이 닳은 구두는 발 건강에도 해롭다. 더 편한 새 신발을 맞이할 공간을 마련하자.
4 여행 기념품. 여행지에서 충동적으로 산 소품이 장식장 구석에 방치돼 있다면 과감히 정리하자. 사진으로도 추억은 충분하다.
5 찬장에 쌓여가는 플라스틱 빈 용기. 배달 음식 용기, 오래된 플라스틱 통은 점점 쌓이기만 한다. 꼭 필요한 용기만 남기고 나머지는 정리한다.
6 유통기한 지난 화장품. 세월 지난 립스틱, 굳은 마스카라는 피부 건강에 해롭다. 아무리 ‘가네다(가루 네버 다이)’라고 해도 과감히 버리고 신선한 제품만 남겨두자.
7 쓰지 않는 포장지·선물 봉투. 행사 때마다 모아둔 포장지가 산처럼 쌓였다면 일부만 남기고 정리하자. 필요한 건 언제든 새로 구할 수 있다.
8 정체불명의 충전기·코드. 무슨 기기에 쓰던 건지 기억조차 안 나는 케이블은 서랍을 엉망으로 만든다. 분리수거 후 정리하는 게 현명하다.
9 어울리지 않는 옷. 입으면 불편하거나 몸에 맞지 않는 옷은 옷장을 막을 뿐이다. 기부하거나 중고 거래로 내보내자.
10 부속품이 사라진 보드게임. 말판만 남은 보드게임, 빠진 조각으로는 제대로 즐길 수 없다. 기부하거나 재활용할 방법을 찾고 공간을 확보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