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신문=서유덕기자]

신산업 분야 규제 혁신을 논의하는 한 간담회에서는 모 참가자의 호소력 짙은 발언에 참석자들의 시선이 모였다.
일반적으로, 국회의원이나 정부 관계자가 참석하는 자리에서 어렵사리 발언권을 얻는 기업인들은 국회 입법과 정부 정책의 아쉬움을 언급하곤 한다. 창업기업 관계자들이 모인 이날도 그런 예상을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신산업 규제를 대폭 완화해달라는 등 입법·정책 관련 논의를 이어갔다.
그런 와중 한 참석자는 ‘기업인이 존중받는 문화가 필요하다’는 말과 함께 눈시울을 붉히기 시작했다. 그는 “기업인들 또한 가정에서 자랑스러운 부모님이자 직원의 존경을 받을 만한 대표자가 되고 싶고, 더 나아가 사회로부터도 인정받길 바란다”면서 “기술 창업자들이 더 힘내서 우리나라의 기술 자주성을 지키는 일에 대한 사명감으로 열심히 일할 수 있게 해달라”고 말했다.
논의의 흐름에서 벗어난 듯한 이 발언에 다른 참석자 여럿이 공감의 박수를 보낸 것은 대기업만이 아니라 창업기업마저도 국내 경제·사회 전반에 형성된 반기업 정서로 인해 경영상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방증하는 것이었다.
반기업 정서는 기업에 대해 불신과 반감을 갖는 사회적 분위기를 말한다. 이는 기업 활동을 위축시켜 기술 혁신, 가치 창출, 기업 성장과 경제 발전을 가로막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과거 반기업 정서는 주로 대기업에 집중됐는데, 최근에는 공기업과 중소기업은 물론 창업·벤처기업으로까지 확산하는 모양새다. 특히 창업기업들은 반기업 정서가 초기 투자를 어렵게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반기업 정서의 원인으로는 일부 기업인의 일탈과 정경유착 및 기업 특혜에 관한 시비가 거론되곤 한다. 그러나 △노조·시민단체 등과의 대립 구도 △기업의 순기능에 대한 국민 인식 부족 △일부 정치권의 선전 수단화 △언론에 의한 그릇된 인식 확산 등 외부 요인도 손꼽힌다.
반기업 정서가 기업과 국가 경제의 성장을 저해하는 일이 없게 하고자, 기업들은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고 윤리 경영을 확립하는 데 종전보다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지침은 그런 노력의 대표적인 예다.
이제 국회 등 정치권과 정부, 언론인들의 노력도 동반돼야 한다. ‘연말이 되면 청문회에서 기업인들이 줄지어 앉아 혼나기 일쑤인데, 잘한 기업인들에게 칭찬과 격려를 보내는 자리도 많이 주목받았으면 좋겠다’는 한 기업인의 말은 좋은 단서다.
기업의 역할에 관한 대국민 인식의 개선을 각계의 합심으로 이뤄낼 수 있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