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제강점기 조선인 약 2000명이 끌려가 강제노역에 시달린 '일본 사도광산'이 지난해 7월27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됐다. / 사진=머니투데이 DB
일본 사도광산의 추도식이 당초 약속됐던 7~8월을 넘겨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 사도광산은 일제강점기 당시 조선인 약 2000명이 강제노역에 시달린 곳이다. 정부는 지난해 일본 측이 사도광산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는 과정에서 매년 7~8월 추도식 개최 등 역사 반영 조치를 하겠다는 입장에 동의해 세계유산 등재에 반대하지 않았다.
외교부 당국자는 30일 출입기자단 문자 공지를 통해 "사도광산 등재 협상 당시 일본 측이 추도식 일시를 7~8월로 구상하고 우리에게 전달해온 바 있다"며 "작년에는 7월말 등재 후 시기적으로 불가피하게 늦어진 측면이 있고 올해도 여러 협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7~8월 개최가 어려워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지난해 사도광산 추도식은 세계유산 등재 이후 첫 행사로 시간이 필요하다는 입장에 따라 11월로 늦춰 진행했지만 올해 행사도 결국 예고됐던 시기에 열리지 않아 '부실 합의' 논란이 예상된다.
지난해 추도식은 당초 유족과 한국 정부 관계자 등이 함께 참석한 가운데 열릴 예정이었다. 하지만 양국은 행사 명칭부터 일정, 일본 정부 참석자 등과 관련해 이견을 보이면서 추도식을 각각 개최했다. 이 때문에 '반쪽 추도식'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이후 일본을 '중요 파트너'라며 한일관계 강화 필요성을 여러차례 강조하고 있는데, 사도광산 등 과거사 문제로 한일관계가 또다시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 대통령은 지난해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사도광산 관련 우리 정부의 입장을 비판하기도 했다.
지난해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에는 우리 정부의 동의도 있었다. 일본은 당초 태평양 전쟁 시기를 아예 등재 대상에서 제외하려 했다. 하지만 정부는 그동안 세계유산 등록을 위해선 일본이 조선인 강제노역 등 '전체 역사'를 반영해야 한다는 '조건부 찬성' 입장을 견지했다.
한국이 끝까지 사도광산 등재에 반대하면 장시간 토론 후 표결을 거쳐야만 한다는 부담도 작용했다. 표결에서 위원국 3분의2 이상이 찬성하면 등재가 이뤄지고 우리가 등재를 막으려면 3분의1 이상의 반대를 얻어야 하는데, 일본이 유네스코에 많은 자금을 지원하는 주요기여국 중 하나인 점을 고려할 때 외교적 부담이 상당했다고 한다. 결국 양국은 강제노역 등 '전체 역사'를 반영하는 방식의 절충안에 합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