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를 환상의 세계로 인도했니?” 일단 써봐야 팔 수도 있다며 여성 성기구를 써본 정숙(김소연)에게 금희(김성령)가 묻는다. 쑥스러워하며 망설이던 정숙이 작은 목소리로 털어놓는 고백은 우스우면서 도발적이다. “네, 잠시. 안 써본 사람은 있어도 한 번만 써본 사람은 없을 것 같아요.” JTBC 토·일 드라마 ‘정숙한 세일즈’의 이 장면은 이 드라마의 파격성을 잘 보여준다.
1992년 가상의 시골 마을 금제시를 배경으로 성인용품 방문판매 여성 4인방 이야기. 동네 아주머니들을 모아 놓고 성인용품을 신문물이나 되는 듯 소개하는 대목에는 ‘야한’ 속옷과 피임용품, 성기구까지 등장한다. 간간이 모자이크 처리를 해 적절한 코미디 버전으로 보여주지만,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가 아닌 레거시 미디어 TV에서 그간 다루지 않던 성을, 그것도 여성의 성을 소재로 한 건 실로 파격적이다. 소재가 그렇다고 ‘정숙한 세일즈’를 그저 ‘야시시한’ 드라마라 생각하면 오산이다. 자극과 선정성이 아니라, 여성의 성적 해방과 성장 서사를 그린다. 이런 면모는 정숙, 금희, 영복(김선영), 주리(이세희) 등이 처한 현실에서 드러나는 문제의식을 통해 볼 수 있다.
남편의 불륜 장면을 눈앞에서 보고도 선뜻 이혼하지 못했던 정숙은, 이혼이 일종의 주홍글씨가 되는 탓에 괴로워도 참고 살았던 당대 여성들의 문제를 꺼내 놓는다. 약사 남편 덕에 손에 물 한 방울 안 묻히고 살아왔지만, 존재 가치를 느끼지 못하는 금희는 자기 일을 함으로써 자존감을 되찾고 싶어한다. 또 무능한 남편 때문에 생활 전선에 뛰어들게 된 영복은 가난을 벗어나고 싶어한다.
아들을 홀로 키우며 미용실을 운영하는 미혼모 주리는 당대의 편견 어린 시선에도 불구하고 당당하게 살아가려 한다. 요컨대 ‘정숙한 세일즈’는 ‘19금’ 소재 자체보다 이 일을 함께하는 4인방이 저마다의 문제를 넘어서고 성장하는 과정에 집중한다.
특히 주목하는 건 편견이 만드는 폭력을 꺼내 놓고 이를 통쾌하게 해결하는 과정이다. 정숙은 보수적인 마을 사람들로부터 손가락질과 낙서 테러를 당한다. 심지어 “그렇고 그런 여자”라며 가하는 성폭력 위기까지 겪는다. 이웃은 피해자인 정숙 편에 서기는커녕, 오히려 “그런 일을 해서 당한 것”이라고 상처를 준다. 이는 최근의 화두인 ‘2차 피해’에 대한 문제의식을 드러낸다. 참는 정숙을 일깨우는 건 아이들의 대화다. “덩치가 큰 아이는 피하는 게 답”이라는 동우(정민준)에게 정숙의 아들 민호(최자운)는 말한다. “근데 우리가 왜 피해? 잘못한 게 없는 사람이 왜 숨어 지내냐고? 안 억울해? 부딪쳐서 다칠망정 맞서봐야지. 그래야 아름다운 이 지구에 밝은 미래가 찾아오는 거야.” 아들 말에 정숙은 싸워야 한다는 걸 깨닫는다. 결국 가해자를 상대로 함께 맞서는 여성들의 연대는 카타르시스를 준다.
1980년대 성인용품 판매원 이야기를 그린 영국 드라마 ‘브리프 엔카운터스(Brief Encounters)’가 원작인 ‘정숙한 세일즈’는 한국적 정서를 고려한 다양한 장치들을 활용해 리메이크했다. ‘1992년의 시골 마을’ 설정은 복고적 요소 덕분에 추억을 소환한다. 김완선과 심신의 노래가 흘러나오고, 드라마 ‘여명의 눈동자’의 유명한 키스신이 등장한다. 당대를 살았던 세대는 향수를, 젊은 세대는 빈티지 감성을 느낀다. 단순한 추억팔이가 아니다. 시골 마을 특유의 토속적 느낌이 묻어나는데, 덕분에 시대착오적인 마을 사람들 모습이나 ‘19금’ 소재로 인한 불편한 느낌을 상당 부분 희석할 수 있다.
한국적 냄새가 물씬 풍기는 가족 드라마적 요소와 로맨스도 뺄 수 없다. 4인방이 성인용품 판매에 나선 이유 자체가 가족의 생계와 자신의 행복을 위해서다. 그래서 ‘19금’ 소재를 빼면 가족 드라마이자 멜로물이라고 해도 무방할 만큼 훈훈한 가족애와 달달한 로맨스, 워맨스가 등장한다.
과연 편견 가득한 세상에서 버텨내고 이겨내며 자신을 성장시키는 건 어떻게 가능할까. ‘정숙한 세일즈’는 그것이 서로의 아픔을 보듬고 살길을 함께 열어나가는 동병상련의 마음이 만들어내는 단단한 결속이라고 말한다. ‘19금’ 소재 자체보다 연대한 여성들의 성장 서사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