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산연 “경기 침체에도 주택 건설업 성장세 양호…공장·창고는 둔화”

2025-08-18

건설경기 침체가 이어지고 있지만 주택 건설업은 양호한 성장세를 보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사무실·점포와 발전·송전 수주도 늘어 국내 건설 수주 규모가 2040년에는 300조 원대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됐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은 18일 발표한 ‘미래 건설산업의 변화와 전망’ 보고서에서 국내 건설수주 규모가 올해 193조 3000억 원에서 2040년 304조 7000억 원으로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는 2025~2030년에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와 공사비 급등 등으로 과거보다 낮은 연평균 2.4% 성장을 기록하겠으나 2030~2035년에는 부동산 PF 문제 해소와 가덕도 신공항, 용산국제업무지구 등 대형 사업 본격화로 성장률이 연평균 3.7% 수준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했다. 이어 2035~2040년에는 사회기반시설(SOC) 투자 감소로 연평균 3.1% 성장률을 보이겠다고 전망했다.

세부 공종별로는 주택·철도·궤도가 미래에도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주택은 과거보다는 성장세가 둔화하지만 다른 공종보다는 상대적으로 양호한 성장세가 전망되며, 철도와 궤도는 향후 도로 및 교량 수주 규모를 넘어서겠다고 보고서는 예측했다.

사무실·점포 수주는 최근 부동산 PF 부실 영향으로 규모가 크게 위축됐으나 미래에는 복합 상업시설 수요 증가에 따른 도시구조 개편, 주요 교통 인프라 확충과 맞물려 수요가 확대되겠다고 전망했다.

발전·송전 수주는 신재생에너지 확대와 노후 설비 교체 수요, 인공지능(AI) 확산에 따른 수요 증가 및 전력 인프라 고도화 정책 영향으로, 상하수도는 도시 내 지하시설 노후관 교체 수요와 도심 환경 인프라 투자 증가 영향으로 수주 증가가 예상됐다.

반면 공장·창고는 최근 몇 년간 급등한 첨단 산업단지 및 물류센터 건설 수요가 정점을 지남에 따라 미래에는 성장률이 둔화하고, 기계 설치와 토지 조성·조경공사도 성장세가 약화할 것으로 전망됐다.

건산연은 향후 건설산업 성장을 이끌 주 요인으로 ▲ 대형 국책사업 추진 ▲ 스마트·디지털 건설 확산 ▲ 친환경·탄소중립 인프라 수요 확대 등을 꼽았다.

박철한 건산연 연구위원은 "건설산업의 미래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의 전략적 접근이 요구된다"며 "건설업계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산업 체질을 개선하고 미래 대비 전략을 추진하는 가운데 궁극적으로 변화하는 수요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국민 기대에 부응하는 방향으로 발전해야 한다"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