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TBC 인기 드라마 ‘서울 자가에 대기업 다니는 김 부장 이야기’ 속 한 장면이 산업안전의 현실을 왜곡하고, 안전 직무의 가치를 희화화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지난 13일 대한중대재해예방협회는 공식 성명을 통해 “드라마가 사회적 논쟁을 차용하는 과정에서 ‘안전’의 의미와 역할을 지나치게 가볍게 다뤘다”며 “이는 단순한 연출을 넘어 사회적 인식을 후퇴시키는 메시지”라고 비판했다.
문제가 된 장면은 극 중 영업팀 김낙수가 ‘인터넷 속도 논란’을 해결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아산 사업장 안전관리팀장으로 사실상 좌천되는 내용이다.
협회는 “극중 김낙수 부장의 안전관리팀장 발령을 '징벌적 좌천인사'로 표현하여 안전관리직을 본사에서 밀려난 인력들이 가는 '한직'으로 격하시켰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5회차에서 안전관리 업무를 개똥 치우기, 변기 뚫기 등 단순 작업 수준으로 희화화하고 '안전점검표 대충 처리'를 조언하게 하여 직업윤리를 폄훼했다”고 주장했다.
또 “6회차에서 안전팀장의 정당한 지적을 현장 작업자들이 묵살하거나 비웃는 장면을 반복적으로 노출시켜 안전 전문가의 권한과 위상을 블필요한 존재로 전락 시켰다”고 반발했다.
협회는 방송사에 공식 설명과 유감 표명을 요청하며, 향후 산업현장이나 안전관리 직무가 등장하는 모든 드라마·예능에 산업안전 전문가의 검증 절차를 의무화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정상민 협회장은 "드라마가 현실을 빌려 쓴 순간, 그 책임도 현실의 무게로 져야 한다"며 "안전은 좌천의 행선지가 아니라 사회의 기초이며, 현장은 한직이 아니라 생명의 최전선"이라고 강조했다.





![[주간 티빙] 조쉬 하트넷의 액션 코미디 '킬러들의 비행'](https://image.mediapen.com/news/202511/news_1058245_1763113754_m.jpg)
![[반구대 사피엔스 특집] <반구대 사피엔스> 특집 ⑰ 연출부 박정은](https://www.usjournal.kr/news/data/20251114/p1065625042003424_593_thum.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