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도 몰랐던 과거 생물 이야기(45)] 피그마클리페아투스

2025-05-08

삼엽충은 화석이나 과거에 살았던 생물에 대해서 잘 모르는 사람들조차도 최소한 한 번쯤은 어딘가에서 들어보았을 고생물이다. 몸이 3개의 마디로 나누어지는 이 생물은 고생대 시기를 대표하는 절지동물 중 하나이다. 비록 지금은 멸종하였으나 그 독특한 생김새만큼은 고생물을 잘 모르는 사람들에게도 익숙한 인상을 남겼다.

최근에 삼엽충과 가까운 친척 중 한 생물이 학계에 보고되었다. 이 생물은 전반적인 형태는 삼엽충과 매우 흡사하였다. 그러나 삼엽충은 아니며, 그에 가까운 친척이었다. 재미있는 점은 이 생물에겐 삼엽충의 특징뿐 아니라 삼엽충이 아닌 다른 절지동물의 특징도 동시에 보인다는 것이다.

삼엽충의 가까운 친척

피그마클리페아투스는 2000년에 학계에 처음 보고되었다. 중국 남쪽 윈난성에 분포한 치웅츄수층(Chiungchussu Formation)에서 발견된 이 화석은 중국 시안 서북대학교 소속의 연구진에 의해서 연구되었다. 발견된 화석은 전신이 온전히 남아 있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신체의 상당수가 남아 있어 생김새를 유추해 낼 수 있었다. 이 생물은 총 6개의 가슴마디, 그리고 큰 꼬리마디를 가지고 있었다. 몸은 전반적으로 매우 납작하고 동시에 너비가 넓고 약간 둥근 형태를 하고 있었다. 생물은 매우 작은 크기였는데, 몸길이 9.8mm에 너비 12mm정도이다. 이 중에서 머리가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큰데, 전신의 25% 정도를 머리가 차지하고 있었다고 한다.

2022년에 중국과 독일, 미국의 공동 연구진이 발표한 연구에 의하면 피그마클리페아투스는 총 14쌍의 다리를 가지고 있었다. 다리의 형태는 크게 3가지 종류로 나누어진다. 더듬이 바로 뒤에 5쌍을 이루고 있는 원족, 여러 가시 모양의 돌기가 달려 있는 내족, 그리고 노 모양의 외족으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다리 구조는 이 생물이 해저 바닥에서 유영 생활을 하였을 것으로 짐작하게 한다. 아마도 해저 바닥에서 다른 생물의 시체나 배설물을 먹으며 살았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신체 전방에 달린 다리는 먹이를 입 쪽으로 가져올 때, 그리고 후방에 달린 노와 비슷한 다리는 유영을 할 때 사용되었을 것이다.

몸의 등 쪽, 배 쪽에 있는 눈

2025년 2월에 피그마클리페아투스에 대한 한 가지 재미있는 연구가 학계에 보고되었다. 중국과 독일의 공동 연구진은 새로 발견된 피그마클리페아투스의 화석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연구진은 피그마클리페아투스의 화석을 CT로 스캔하고 초접사 촬영을 해 이 생물의 신체 표면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독특한 눈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 생물의 눈은 등 쪽, 그러니까 윗부분과 배 쪽, 그러니까 아랫부분에 위치해 있었던 것이다. 등 쪽에 위치한 눈은 일반적인 절지동물처럼 겹눈 형태를 하고 있었다. 그 반면에 배 쪽에 위치한 눈은 길게 뻗은 자루(stalk) 끝에 달려 있는데, 생물의 몸이 화석이 되면서 짓눌렸을 때 튀어나온 형태를 하고 있었다.

이렇게 독특한 눈을 가진 생물 피그마클리페아투스는 삼엽충과 다른 절지동물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예시라고 할 수 있다. 등쪽에 있는 한쌍의 겹눈은 삼엽충과 유사하나 배쪽에 있는 1쌍의 눈은 그 삼엽충 이외의 다른 여러 해양 절지동물과 유사하다. 즉, 피그마클리페아투스는 삼엽충과 삼엽충이 아닌 절지동물의 특징을 전부 가지고 있는 셈이다.

연구 및 자료 출처-

Schmidt, M., Hou, X., Zhai, D., Mai, H., Belojević, J., Chen, X., ... & Liu, Y. (2022). Before trilobite legs: Pygmaclypeatus daziensis reconsidered and the ancestral appendicular organization of Cambrian artiopod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377(1847), 20210030.

Schmidt, M., Schoenemann, B., Hou, X., Melzer, R. R., & Liu, Y. (2025). Pygmaclypeatus daziensis, a unique lower Cambrian arthropod with two different compound eye systems. Communications Biology, 8(1), 317.

Zhang, X., Han, J., & Shu, D. (2000). A new arthropod Pygmaclypeatus daziensis from the early Cambrian Chengjiang Lagerstätte, South China. Journal of Paleontology, 74(5), 979-982.

이수빈 화석 연구가이자 과학 커뮤니케이터. <화석이 말하는 것들>(에이도스) 저자

[저작권자ⓒ 울산저널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