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장이 오는 27일 조찬 모임을 갖는다. 형식상 정례적인 비공식 모임이지만, 바로 하루 뒤 예정된 이찬진 신임 금융감독원장과의 공식 간담회를 앞두고 마련되는 자리여서 주요 금융 현안에 대한 사전 교감이 오갈 가능성이 크다.
25일 복수의 금융권 관계자에 따르면 해당 조찬은 매달 1회 열리는 은행장 간 비공식 정례 모임의 일환으로, 금감원장 간담회 일정과는 무관하게 사전에 계획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기적으로 간담회를 하루 앞두고 열리는 만큼 주요 현안이 논의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 원장은 지난 13일 취임 이후 첫 공식 대외 일정으로 은행권과의 만남을 선택했다. 이후 보험, 금융투자, 저축은행 등 각 금융업권 대표들과의 상견례를 순차적으로 이어갈 계획이다.
특히 이 원장이 이재명 대통령과 30년 넘는 인연을 지닌 ‘실세 원장’으로 평가받는 만큼, 첫 회동에서 내놓을 메시지의 무게감은 가볍지 않다.
현재 은행권은 굵직한 이슈에 직면해 있는 상태다. 우선 가장 민감한 사안은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의 대규모 손실 사태에 따른 과징금 문제다. 금융당국은 총 판매액이 16조원에 이르는 해당 상품에 대해 과징금 부과를 검토하고 있으며, 단순 산정만으로도 과징금이 최대 8조원에 이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중이다.
제재 수위에 따라 은행 실적뿐 아니라, 향후 금융상품 판매 관행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어 업계의 촉각이 곤두서 있다.
또 다른 핵심 이슈는 공정거래위원회가 조사 중인 ‘부동산담보대출비율(LTV) 담합 의혹’이다. 이와 관련 공정위는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은행에 최대 1조원 규모의 과징금을 부과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문제는 해당 사안에 대해 금융감독당국과 공정위가 다소 다른 입장을 취하고 있다는 점이다. 앞서 전임자인 이복현 전 금감원장은 해당 LTV 담합 이슈에 대해 “과도한 제재는 금융시장 안정성과 소비자 권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은행권의 입장을 일정 부분 반영한 태도를 보인 바 있다. 이에 이 원장이 이러한 입장을 계승할지, 혹은 새로운 원칙을 제시할지가 간담회의 핵심 관전 포인트로 떠오르고 있다
이 원장은 내부 임직원들에게 “독단적인 결정을 지양하고, 폭넓은 의견을 경청하겠다”는 메시지를 취임 직후부터 강조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러한 기조가 은행권과의 첫 공식 회동에서도 반영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이 원장이 내부적으로 소통과 협의를 강조한 만큼 은행권과의 첫 공식 만남에서도 그런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일방적인 지시보다는 현안에 대한 상호 이해와 조율의 분위기가 조성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