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텔레콤(017670)이 서버 해킹 사고로 비판을 받는 가운데 유영상 대표가 국회 청문회에 직접 출석해 관련 현안에 대한 입장을 밝힐 계획이다.
29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유 대표는 30일 오전 10시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가 개최하는 ‘YTN 등 방송통신 분야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해 이번 사고와 관련한 국회의원들의 질의에 답할 예정이다. 과방위는 앞서 류정환 SK텔레콤 부사장을 증인으로 채택했지만 사안이 심각하다고 판단해 유 대표를 부르기로 했다.
유 대표는 해킹 원인과 경위, 피해 규모, 재발 방지 대책은 물론 신고 지연과 가입자 고지 미흡, 유심(USIM) 교체 물량 부족 등 이번 사고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불거진 논란에 대해서도 질의와 질책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과방위는 전날 성명문을 통해 “2300만 가입자의 개인정보와 통신 안전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며 SK텔레콤과 유 대표를 향해 날선 비판을 했다. 과방위는 “사고 인지 후 24시간 이내 신고 의무를 어겼다는 지적과 함께 사고 경위 및 피해 규모 축소·은폐 의혹까지 더해져 국민 신뢰는 바닥까지 추락했다”며 “늑장·축소 대응의 모든 경위는 30일 청문회에서 반드시 밝혀질 것”이라고 예고했다.
이날에도 이정문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이 원내대책회의에서 “사고는 SK텔레콤이 쳤는데 피해는 왜 오롯이 고객들의 몫이어야 하느나”며 “정부와 SK텔레콤은 고객 불안을 해소하고 실질적인 피해 구제를 위해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도 원내대책회의에서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태는 단순한 개인정보 유출을 넘은 심각한 정보 보안 사고”라고 하는 등 정치권이 일제히 SK텔레콤을 비판했다. 국민의힘은 ‘SK텔레콤 소비자 권익 및 개인정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사고 원인과 피해 상황 및 대응 방안 등을 마련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