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자외교 최전방 직책으로 꼽히는 주유엔 대사에 이재명 대통령과 사법연수원 동기(18기)인 차지훈(사진) 변호사가 내정됐다. 외교관 출신이 아닌 인물이 유엔 대사를 맡는 건 1990년 이후 처음이다.
11일 외교소식통에 따르면 이재명 정부 초대 주유엔 대사에 차 변호사가 부임한다. 오는 23일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총회 이 대통령 기조연설에도 동행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주유엔 대사는 ‘아그레망’(주재국 동의) 절차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차 변호사는 2020년 이 대통령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변호인단에 참여했고, 2009년부터 8년 동안 성남시 고문변호사로도 활동했다.
전남 순천 출신으로 순천고와 서울대 법대를 졸업하고 제28회 사법시험에 합격했다. 미국 뉴욕주 변호사 자격이 있고,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 국제연대위원장, 법무부 국제투자분쟁 법률자문위원 등을 지냈지만 외교와 관련해 공개된 경력은 사실상 전무하다. 유엔을 무대로 다자외교의 최전방에 서는 주유엔 대사를 맡기에 경력이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도 그래서 나온다.
한편 이재명 정부 초대 주러시아 대사에는 이석배 전 주러대사가 내정됐다. 이 전 대사는 문재인 정부 때인 2019년 러시아 대사를 맡았다. 이 전 대사는 1991년 러시아 전문관으로 입부해 주러시아 공사와 참사관, 주상트페테르부르크 총영사를 거쳐 러시아 대사까지 지냈다. 한 외교 소식통은 “이 대사는 러시아에 대한 이해가 깊고 내재적 접근이 탁월하며, 고위급을 아우르는 대러 네트워크도 독보적”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