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파식적] 낙월 해상풍력 사업

2025-07-20

전남 영광군 낙월면의 낙월도·안마도·송이도 인근 해역에서는 국내 100여 개 기자재 생산 및 공사 업체가 해상풍력 사업을 벌이고 있다. 발전공기업 중심에서 벗어나 민간 컨소시엄이 국내외 프로젝트파이낸싱을 통해 공사에 들어간 점이 이 사업의 특징이다. 목표대로라면 5.7㎿ 풍력발전기 64기가 설치돼 364.8㎿ 규모의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낙월 해상풍력 프로젝트와 관련해 중국 국영기업인 중국에너지건설유한공사(CECC)가 설계·조달·시공(EPC) 사업자로 참여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중국 기업이 해상풍력 사업에서 부품·기자재 공급을 넘어 EPC에 참여하는 것은 처음이다. 태양광에 이어 해상풍력까지 중국에 주도권을 빼앗기고 우리 근해의 해저지형 정보 등도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가뜩이나 중국이 우리 측과의 잠정조치수역(PMZ)에서 구조물을 설치하는 등 ‘서해공정(西海工程)’에 나선 상황이다.

해상풍력 사업은 영광 외에도 전남 신안·고흥, 전북 부안·고창, 울산 등 100여 곳에서 2036년까지 총 34GW 규모의 발전소를 가동한다는 계획으로 추진되고 있다. 1~1.5GW의 원자력발전소를 수십 개 운용하는 것과 맞먹는다. 물론 국내 기업들이 인프라와 시공 경험, 기술력의 부족 등으로 세계 선두권인 중국 기업과 협력하는 게 불가피한 경우도 있으나 득실을 면밀히 분석하면서 우리의 자립 생산 기반 마련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국내 전기버스 시장의 경우 배터리 성능과 에너지 밀도 등만 따져 보조금을 지급하는 바람에 중국산 점유율이 2023년 말 절반을 넘어서기도 했다.

해상풍력 사업이 전력 생산을 넘어 지역 경제 발전의 기폭제가 되게 하려면 중국의 시장 잠식뿐 아니라 어업 피해 및 환경 훼손 논란, 송배전망 확충, 지역 산업 유치 등 많은 숙제들을 풀어가야 한다. 정부가 풍력·태양광 에너지 확대 정책의 과속을 자제하고 원전·재생에너지 믹스 정책과 에너지 안보 전략을 촘촘하게 마련해야 할 때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