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계올림픽 동계와 다르게 상징적 대도시나 수도에 집중
베이징, 런던, 리우데자네이루, 도쿄, 파리, LA등 경제중심지
전주 브랜드가치 제고가 최우선 과제, 명분과 실익 동시 추구
역대 하계올림픽 개최지는 소도시에도 열렸던 동계올림픽과 달리 한 나라의 경제·문화 중심지에서 매번 치러진 것으로 나타나면서 ‘2036 전주올림픽’ 유치를 위한 도시 마케팅이 시급해졌다.
전주는 국내에서 10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도시로 문화적 가치나 그 의미에 있어선 올림픽 개최지로서 자격이 충분하다는 평가다. 그러나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바라는 하드웨어 구축과 관련해서는 아직도 과제가 산적하다.
19일 국회와 체육계 등에 따르면, 앞선 개최지들은 G20 국가의 상징적인 도시들이었고 이 도시들의 개최 사례 연구를 통한 보완점 도출이 절실해졌다.
2032년 하계올림픽 개최지가 호주 브리즈번으로 시드니나 멜버른이 아닌 곳에서 개최된다는 점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브리즈번은 호주에서 3번째로 큰 도시로 인구가 증가 추세에 있는 데다 연중 300일 이상이 맑고 온난하다. 또 하계올림픽이 열리는 7~8월은 호주의 겨울이나 최저기온이 섭씨 5도 이상으로 기온이 평이하다.
IOC 요구하는 조건들과 기존 개최지의 특성을 파악해 전북의 강점을 살려야 하는 것도 전북특별자치도가 해야 할 일이라는 것이 체육계 등의 목소리다.
국내 심사 종료일인 내년 2월까지 전북과 전주에 대한 비전을 대한체육회에 어떻게 어필할지 논리를 개발해야 하기에 남은 시간도 촉박하다.
IOC와 대한체육회의 평가 기준은 크게 다르지 않을 전망이다. 우리나라에서 복수 개최지 신청은 없었기 때문이다. 우선 IOC 올림픽 개최 능력을 최우선으로 평가하는데 교통이나 경기장 등 도시 인프라, 경제적 능력, 정치적 안정성 등을 고려한다.
개최도시에는 충분한 경기장과 숙박시설 등 선수단과 관광객을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이 제1순위다.
기후 조건이 좋아야 하며, 개최도시는 여가 및 문화 프로그램 제공으로 개최도시로서 위상을 갖춰야 한다는 게 IOC의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에는 환경적 문제가 거론되면서 올림픽 경기장의 재활용 등도 관건으로 떠오르고 있다. 전북도가 저비용·고효율 대회를 강조한 것도 이 같은 배경에서다. 파리올림픽의 경우 파리에 기존 체육 인프라가 풍부해 저비용 대회를 치를 수 있었다.
정부와 기업의 지원 및 후원 계획, 시민 지지, 철저한 예산 계획 등도 전북자치도가 반드시 준비해야 할 필수 요소로 꼽힌다. 개최국과 개최도시가 자체적으로 올림픽 개최에 필요한 재정적 자원과 예산 계획도 IOC가 살펴보는 요인이다.
하계올림픽 개최지가 유독 동계올림픽에 비해 다양하지 않고, 개최지가 반복되는 것도 이 같은 배경에 있다.
실제로 2008년 개최지 중국 베이징과 2016년 개최지인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를 빼면 2012년 개최지인 영국 런던 3회(1908년, 1948년), 2020년 개최지 일본 도쿄 2회(1964년), 2024년 개최지 프랑스 파리 3회(1900년, 1924년), 2028년 개최지 미국 로스앤젤레스(1932년, 1984년)까지 모두 반복 개최지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관계자는 전주 올림픽 유치경쟁과 관련해 “막연한 지역경제 유발효과만 어필하는 것은 전북 내수용밖에 되지 않는다”며 “과거 모든 (올림픽)개최도시는 한 국가의 수도거나 최대 경제도시였다. 이 같은 패러다임을 전환하기 위해서는 그만큼의 노력과 치밀한 계획이 수반돼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올림픽
김윤정 kking152@jjan.kr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