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문선 인턴기자 = 유네스코 세계유산 종묘가 다시 제 모습을 찾았다.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는 종묘 정전의 5년간 보수공사를 마친 것을 기념해 오는 21일부터 6월 16일까지 '삼가 모시는 공간, 종묘' 특별전시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는 조선의 역대 국왕과 왕비, 대한제국 황제와 황후의 신주를 정전에 다시 모시는 것을 기념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종묘는 대한민국의 대표 국가유산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지 올해로 30주년을 맞았다.
전시는 총 3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서는 조선시대 종묘 건축의 증수 역사를 다룬다. 종묘 정전과 영녕전의 증축 이력과 함께 조선 후기 세 차례에 걸친 증수 내용을 의궤 기록을 통해 살펴볼 수 있으며 오늘날의 정전 모습을 갖추게 된 1836년 종묘 증수 과정도 시간 순으로 볼 수 있다.
2부는 조선시대 종묘 신주의 이안과 환안 과정을 소개한다. 헌종 대 제작된 '종묘영녕전증수도감의궤' 속 신주 환안 반차도를 영상으로 만들어 가마에 실린 신주가 고위 관료, 군대, 의장대, 악대의 호위를 받으며 이동하는 장면을 감상할 수 있다. 또, 당시 신주가 종묘에서 경희궁까지 이동했던 경로를 고지도에 표시하여 오늘날 종로의 어느 지역을 지났는지도 살펴볼 수 있다.

3부에서는 5년간의 보수 과정을 영상으로 담은 '종묘정전보수일기'를 통해 종묘의 역사성 보전을 위해 사람의 손으로 수리하는 전통 기법을 원칙으로 삼고 보존처리와 보강을 통해 옛 자재를 최대한 활용하려 했던 노력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정전을 수호하는 장식기와인 '잡상'의 복제품도 볼 수 있다.
이번 특별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으며 별도의 해설 없이 무료로 운영된다.
moonddo0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