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학술지 게재, 상지기능·보호자 부담 낮춰

동대문구(구청장 이필형)는 삼육서울병원과 공동으로 진행한 '자택 기반 로봇 재활 프로그램' 연구 결과가 국제 학술지에 게재되며 학문적·실용적 가치를 인정받았다고 지난달 25일 발표했다. 이 연구는 이동이 어려운 장애인의 일상 재활 모델 개발을 목표로 2023년 4월부터 2025년 1월까지 약 2년간 진행됐으며, 국제 과학기술 인용색인(SCIE) 등재지인 MDPI 'Healthcare'에 최종 게재됐다.
연구는 뇌병변·지체장애인 3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참가자들은 주 3회, 8주간 가정에서 팔꿈치·손목·무릎·발목 관절을 겨냥한 로봇 재활 기기를 활용해 근력 운동과 수동 관절 운동을 수행했다. 기기는 1~10단계로 보조 및 저항 강도를 조절할 수 있어 맞춤형 재활이 가능하다는 점이 특징이다. 동대문구 보건소 물리치료사와 삼육서울병원 의료진은 원격 모니터링과 주기적 방문 상담을 통해 운동 효과를 점검하고 전문가 피드백을 제공했다.
분석 결과, 만성 장애인의 상지 기능 향상과 보호자의 돌봄 부담 감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선이 확인됐다. 특히 보호자의 정신적 스트레스 완화와 삶의 질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나, 장애인과 가족 모두에게 혜택이 확장된 것으로 평가받는다. 이필형 구청장은 "이번 연구는 재활이 단순히 신체 회복을 넘어 가족 전체의 행복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증명했다"며 "앞으로도 장애인 맞춤형 복지 기술 개발에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구는 2023년 2월 전국 최초로 가정 방문형 로봇 재활 서비스를 도입한 데 이어, 이번 연구를 통해 서비스의 과학적 효과성을 검증했다. 해당 프로그램은 현재까지 100여 명의 장애인에게 제공되며 호응을 얻고 있다.
한편 연구를 주도한 삼육서울병원 관계자는 "국내 최초의 가정 기반 로봇 재활 효과 분석 사례로, 향후 재활 의료 정책 수립에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감을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