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소상공인-홈쇼핑 판매, 실질 성과내야

2025-08-21

정부가 공공 기능을 가진 홈쇼핑과 우체국 채널을 연계해, 지역 소상공인에 대한 판로 제공·매상 확대를 지원하려고 나선 것은 잘한 일이다. '이래서 정부가 필요하다'라고 국민이 실감할 수 있는 이재명 정부 초기 정책 본보기로 삼을 만하다.

홈쇼핑과 우체국 사업 지휘권을 가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책임성있게 나선 것도 좋은 아이디어다. 이렇게 해야만 홈쇼핑과 우체국이 손해를 보지 않는 최소선의 수수료나 배달료를 소상공인에게 징구할 수 있고, 소상공인은 정부를 믿고 자기 제품을 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무엇보다 좋은 제품을 저렴하게 공급하는 것이 최선책이다. 이를 위해 홈쇼핑 상품기획자(MD)들이 지역으로 파견돼 설명회를 열고 우수 상품을 선발한다고 한다. 선정 뒤 이들 제품을 홈쇼핑 본방송, 라이브커머스, 홈쇼핑·우체국 온라인몰 등에 편성·송출·노출 한다고 하니 기대해볼 만하다.

극한의 소비 부진에 허덕여온 지역 소상공인들은 줄어드는 상주 인구수, 구매력 등의 한계를 딛고 전국구 사업을 벌여볼 채널을 얻게되는 셈이다. 잘 만 된다면, 큰 비용 안들이고 전국의 구매자들에게 직거래할 수 있수 있는 통로까지 확보할 수 있다.

1차 민생지원 소비쿠폰 지급으로 밑바닥 소비 기운이 살짝 살아나는 듯한 이때, 이런 새로운 채널에서의 소상공인 판매 성과가 실질적인 매상 확대로 나온다면 이 정책 시도는 그야말로 200점 짜리가 될 수 있다.

지역에서 잘 팔리고, 가성비 좋은 제품 사례가 나온다면 홈쇼핑이나 우체국 또한 이리 치이고, 저리 치이는 시장 입지에서 성과를 얻을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말그대로 누이 좋고, 매부 좋은 사업 시도란 얘기다.

홈쇼핑이 정부 국정철학에 코드를 맞춰 재승인 조건 완화 같은 반대급부를 얻으려 한다는 정략적 목적은 잠시 뒤로 미뤄놓자. 지역살림이 살고, 소상공인의 매상과 소득이 오르면 지역경제, 국가경제는 자연히 좋아지는 것이다. 그 성공 경험을 만드는 것이 최우선이란 뜻이다.

하나 덧붙이자면, 최초 제안 부처나 소관이 과기정통부라고 해서, 소상공인 관할인 중소벤처기업부도 팔장끼고 지켜볼 일만은 아닌듯 하다. 우수제품 발굴에 참여 인센티브 같은 정책 수단을 발휘해 더 좋은 제품이 소비자에게 닿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개방적 협력이 절실하다.

두 부처 공무원들이 머리를 맞대면 한 부처가 할 때보다는 훨씬 창의적인 접근과 시도가 많아질 것이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