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가 기업공개(IPO) 등 영리화를 위한 공익법인(PBC) 전환을 확정했다. 기존 최대주주 마이크로소프트(MS)는 공익법인 지분 27%를 쥐게 됐다. 오픈AI가 급속 성장 과정에서 마찰을 빚었던 MS와 타협점을 찾으며 수익화 ‘최종 장벽’을 넘게 됐다는 평가가 이어진다.

28일(현지 시간) 오픈AI는 “MS가 오픈AI 이사회의 공익법인 설립 및 자본 재편 추진을 지지하는 내용의 최종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MS는 오픈AI 기존 투자에 대해 기업가치 1350억 달러를 인정 받아 지분 27%를 쥐게 됐다. MS는 2019년부터 오픈AI 영리법인에 130억 달러 상당을 투자해 직전 자금 조달까지 지분 32.5%를 보유하고 있었다.
공익법인은 영리와 공익을 함께 추구하는 기업 형태다. 현 오픈AI는 비영리법인 산하에 챗GPT 등 서비스를 운영하는 영리법인을 두는 형태로 투자사 권한과 수익에 한도가 있었다. 때문에 대규모 외부 투자 유치와 기업가치 상승에도 IPO 등 수익화 방안이 제한돼 있었다. 소프트뱅크 등은 연내 공익법인 전환을 조건으로 투자를 집행해, 전환 실패시 투자 받은 자금을 토해낼 수밖에 없어 오픈AI가 자금난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었다.
오픈AI 공익법인 전환에 가장 큰 걸림돌로 꼽히던 기업이 초기 투자사인 MS다. MS는 잇따른 외부 투자로 인한 지분 희석과 동시에 오픈AI가 자체 데이터센터 구축에 나서며 MS 클라우드 생태계를 벗어나려는 데 반감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또 오픈AI가 일반인공지능(AGI) 달성을 선언할 시 AI 기술 라이선스가 끝난다는 내용의 기존 계약도 마찰의 원인으로 꼽혔다.
이번 오픈AI의 공익법인 전환 방안 확정은 MS와 협상을 끝내 ‘승인’을 받아냈다는 의미다. MS는 공익법인 지분율 하락에 타협하는 한편 AI 지식재산권(IP) 공유 사항에 단서를 달았다. 오픈AI가 AGI를 선언할 시까지 오픈AI 기술과 클라우드 애저 API에 독점적인 IP 권리를 지닌다는 점은 기존과 같다. 단 오픈AI가 AGI 시대를 선언하더라도 독립적인 전문가 패널이 검증하게 된다. MS의 IP 공유 권한은 2032년까지 연장됐고 AGI 선언 이후 모델도 ‘적절한 안전 장치’가 갖춰줬다면 공유받을 수 있다.
MS는 오픈AI가 개발 중인 ‘AI 전용 기기’ 등 소비자 하드웨어 IP에 대한 권리는 갖지 않기로 했다. 양사는 타 기업과 제품 개발에 나설 수 있게 됐다. 오픈AI는 MS 클라우드 애저와 2500억 달러 규모 계약을 맺는 동시에 MS의 컴퓨팅 독점 공급을 끊었다. 단 오픈AI가 타사와 개발한 제품 API는 MS 애저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챗GPT 등 일반 소비자 대상 서비스는 타 클라우드에서 동작하더라도 기업간거래(B2B)인 API는 MS가 독점하는 형태다.
AGI 선언과 검증이 끝날 때까지 MS에 대한 오픈AI의 수익 분배 계약은 유지된다. 단 지불 기한은 이 시점보다 더 길다고 한다. 블룸버그통신은 “MS가 오픈AI 수익 20%를 받을 권리를 지속 유지하지만 새 협약 일부로 오픈AI가 추후 더 많은 금액을 지급할 수도 있다”며 “MS가 2032년까지 오픈AI 제품·모델에 대한 지식재산권을 보유하게 된 것이 이번 협약의 가장 중요한 측면"이라고 했다.
오픈AI를 통제하는 비영리법인은 ‘오픈AI 재단’으로 이름을 바꾼다. 현 영리법인 지분 1300억 달러 상당을 보유 중으로, 기업가치가 늘어날 때마다 재단이 추가적인 지분을 쥐게 돼 지배권을 유지할 전망이다. 브렛 테일러 오픈AI 이사회 의장은 "오픈AI는 기업 구조를 단순화하면서 자본 재편을 완료했다"며 "비영리 단체는 영리 기업을 계속 통제하고 AGI가 도래하기 전에 주요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길을 확보했다"고 말했다.




![[GAM] '올해 134% 급등' 갤럭시디지털, CB '찬물'에 10% 털썩](https://img.newspim.com/news/2025/10/28/2510280747262950.jpg)
![[GAM] 큐리그 닥터페퍼, 아폴로와 KKR서 JDE 피츠 인수 자금 $70억 조달](https://img.newspim.com/etc/portfolio/pc_portfolio.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