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중국에 파견한 정보기술(IT) 인력이 중국 군사기술을 탈취한 사실이 중국 당국에 최근 적발된 것으로 전해졌다.
29일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노동당 군수공업부 산하 조직이 중국 선양으로 파견한 IT 기술자 A가 지난달 노트북 PC를 소지한 채 현지 숙소를 이탈해 잠적했다가 중국 공안에 체포·구금되는 사건이 벌어졌다.
중국 공안의 수사 과정에서 A의 노트북에서 중국 무기 등 군수 기술을 해킹한 정보가 쏟아졌다고 한다.
공안의 추궁에 A는 중국 군사기술 정보 탈취행위를 모두 자백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북 소식통은 "A가 검거된 사실을 인지한 북한은 같은 장소에서 활동한 IT 인력 전원을 긴급하게 북한으로 복귀시킨 것으로 안다"며 "북한이 중국을 상대로 한 정보수집 활동이 노출될 것을 우려했을 것"이라고 연합뉴스에 말했다.
A는 현재까지 구금 상태라고 이 소식통은 전했다.
A를 중국에 파견한 군수공업부는 노동당의 군수공업 정책을 집행하는 기관으로, 핵·미사일 개발 프로그램 등 주요 국방사업 전반을 담당한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 대상이다.
북한 정찰총국 및 국방성과 마찬가지로 온라인에서 외화벌이나 방산 기술을 탈취하는 IT 인력 조직을 운영하는 것으로 한미 당국의 수사에서 여러 차례 확인됐다. 한국 외교부가 작년 말 제재 대상으로 지정한 '313총국'도 군수공업부 산하 기관이다.
군수공업부나 정찰총국이 중국과 동남아시아 등 해외 곳곳에 파견한 IT 인력들은 여러 명이 합숙하며 가상공간에서 위장 신분으로 활동하는 것으로 잘 알려졌다.
A의 PC에서 발견된 중국의 군사기술 정보가 구체적으로 어떤 종류인지는 파악되지 않았지만 북한이 최근 집중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무인기 관련 정보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북한은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경험을 활용해 소형 무인기 개발과 무인기 운영체계 확보에 힘을 쏟고 있다.
대북 소식통은 "재중 북한 IT 기술자들의 동향을 잘 아는 탈북 인사들에 따르면 군수공업부가 최근 사이버 활동을 강화하며 외화벌이뿐만 아니라 무기 개발에 필요한 정보 수집에도 열을 올리고 있다"며 "공안에 붙잡힌 IT 인력의 해킹 정보도 무인기 관련 내용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북한 연계 해킹 조직이 한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의 군수 기관·기업을 상대로 정보 탈취를 시도하는 것은 여러 차례 확인됐다. 러시아도 북한의 단골 타깃이었지만 혈맹인 중국을 상대로 정보를 취득하려다 적발된 것은 이례적이다.
대북 소식통은 "이번 사건은 북한이 군사력 강화를 위해 해킹 공격 범위를 중국으로까지 확대한 것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사회팀 theradionews@naver.com
<저작권자 © 전파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