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비철금속 비축량이 55일분으로 확대되고 복합비료 원료의 신규 비축도 추진한다.
조달청은 21일 서울지방조달청에서 유관기관 및 산·학·연·외교안보·금융 등 관련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비축자문위원회를 개최하고 이러한 내용의 2025년 비축사업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조달청은 올해 공공비축 규모를 확대하면서 경제안보품목 비축 계획, 희소금속 이관 계획, 비축기지 중장기 로드맵 등 3대 계획을 중심으로 비축 기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먼저 알루미늄, 니켈, 구리, 아연, 주석, 납 등 비철금속 6종의 비축규모를 2027년까지 60일분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올해에는 55일분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특히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알루미늄과 향후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구리의 비축량을 중점적으로 늘릴 계획이다.
요소 등 비축중인 4종의 경제안보품목의 재고량은 유지하고 올해 상반기중 복합비료 원료에 대한 신규 비축을 추진한다.
조달청은 앞으로도 공공비축이 필요한 경제안보품목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공급망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비축규모 확대에 대비해 보유중인 희소금속의 광해공단 이관을 2028년까지 완료하고 소형 비축기지 구조조정 및 권역별 비축기지 구축을 위한 중장기 계획을 마련한다.
또한 공급망 위기 발생시 물량 확보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연간 공급계약을 비철금속 전반에 도입하고 경제안보품목 타소비축(조달청이 구매한 비축물자를 수요기업에서 일정 비율 사용하고 보충하는 조건으로 보관하는 비축 방식) 사업자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해 사업의 안정성과 확장성을 높일 예정이다.
임기근 조달청장은 “올해는 관세 이슈 등 미·중 간 긴장이 높아지고 있어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대비가 그 어느때보다 중요한 시기”라며 “산업 필수 원자재에 대한 공공비축 기능을 강화해 위기 시 대응에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고 평상시에는 기업의 안정적 조업을 뒷받침해 경제와 민생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