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천 교수가 '양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공정한 사회, 함께 사는 사회를 위해선 '양심'을 발휘하는 자세가 필요한 시점이다.
최근 출간된 '양심'은 팀최마존이 제작한 '최재천의 아마존' 300여 편 중 '양심'이라는 키워드와 연관된 7편을 선별, 방송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무삭제 버전의 내용을 글로 새롭게 풀어낸 도서다. 잊힌 '양심'의 의미를 되짚고, 재조명해 보고자 기획됐다.
14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기자회견장에서 열린 '양심'의 출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최재천 교수는 1996년 방송된 예능 '이경규의 양심냉장고'를 언급하면서 "당시엔 '양심'이라는 단어가 굉장히 많이 쓰였다. '양심에 털 난다'는 말은 아직 생물학적으로 이해가 되진 않지만, 그만큼 그 단어가 많이 쓰였다. 그런데 생각해 보니 어느 순간 양심이라는 단어가 사라져 있더라"라며 "단어가 사라지는 데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하나는 용도가 사라진 경우, 또 다른 경우는 다른 단어로 대체가 되는 것이다. 양심은 대체 단어가 생긴 건 아니다. 억지로 찾아보면 '쪽팔리다' 정도일까. 결국 대체 단어가 생긴 게 아니니 용도 폐기가 된 것인데 안타깝다"라고 안타까운 현실을 짚었다.
최 교수는 '양심'이 공정의 바탕이 된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영광스럽게 서울대학교 졸업 축사를 맡게 됐는데 고민 끝에 '양심'을 떠올렸다. 그런데 주변의 반응이 좋지 않았다. 다시 고민한 끝에 그냥 '양심'을 주제로 이야기했다. 그 축사에서 수학 공식을 하나 제안했다. '공평+양심=공정'. 부족한 사람이 누릴 수 있게끔 해주려면 적극적인 양보가 필요하다. 늘 받는데 익숙한 사람들은 양보를 탄압이라고 생각한다는 말을 하신 분이 있다. 누릴 만큼 누리고 사는 사람이 불합리한 일을 당하거나 가지지 못한 자를 떠올릴 때 뭔가를 해야 할 것 같은 마음, 불편한 마음이 우리 마음속에 조금이라도 있다면, 거기서부터 출발해야 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최 교수에게도 양심을 지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는 "제가 혼이 많이 났다. 과거 4대강 사업 반대를 비롯해 호주제 폐지에 기여한답시고 헌법 재판소에 가서' 자연계에 호주가 있으면 그 호주는 암컷일 거라고 했다가 어르신에게 혼이 나곧 했다. 스마트폰이 없던 시절이라 1년 동안 전화기를 못 쓴 적도 있다. 돌이켜 생각을 해보니 제가 제법 여러 가지를 했더라. 설명이 잘 안 된다. 숨고 싶고, 또 숨었는데 세월이 지나고 보니 내가 나섰더라. 약간 후회하는 듯싶다가 보면 제가 또 제일 앞에 있는 거다. 대한민국 국민으로 살며 감옥에 가는 것 빼곤 어지간한 탄압은 받았다. 그러면서도 가끔 '왜 그런 짓을 했을까' 생각을 해보니 내 마음속 타고 있는 작은 양심이라는 촛불을 끄지 못했던 것 같다. '그 얼어 죽을 양심 때문에 번번이 나서고 말았다'는 이야기를 서울대 축사에서 했었다"라고 자신의 경험을 털어놨다.
그러면서도 TV를 보다가, '커피 한잔만 덜 마셔도 아프리카의 아이들이 깨끗한 물을 마실 수 있다'는 말이 나오면 채널을 돌리기도 한다고. 그는 포유동물은 깨끗한 마음을 가지고 태어난다며 "어려서부터 그 마음을 잃지 않게 유지시켜줘야 하는데, '그런 거 신경 쓸 때냐. 공부나 하라'는 말을 듣곤 한다. 계속해서 이런 사회 분위기를 끌고 가면 우리 삶은 점점 피폐해질 수밖에 없다"고 양심을 지키는 노력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했다.
최 교수는 "화두를 던지고 싶었다. 양심이 이야기되는 사회 분위기에 대해 말하고 싶다. '양심적으로 살아라'라고 말하거나 도덕 교육으로 될 일은 아니다. 적어도 단어가 사라지는 것은 막고 싶었다"라는 바람을 밝혔다.
어지러운 시국, 필요한 메시지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이어지고 있는데 최 교수는 "꼭 이런 상황을 예견한 건 아니다. 서울대 축사 때부터 이런 화두를 던지고 싶다는 생각을 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근 정말 정치인들의 입에서 '양심'이라는 단어가 많이 튀어나오고 있다. 흥미롭다. 그분들 중 어떤 분은 제가 생각하는 양심에 부합하는데, 또 어떤 분은 자격이 없어 보일 때도 있다. 그런데 긍정적인 일인 것 같다. 제가 생각하는 양심의 기준에 따라 나라일을 하는 분들이 움직인다면 더 좋은 사회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남녀 갈등 또한 이 관점에서 어렵지 않게 풀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그는 "'이대남' '이대녀'의 갈등으로 표현되는 갈등은 아주 철저하게 공평 수준에도 다투는 것 같다. 남자들은 '지는 군대도 안 가면서'라고 외치지 않나. 그런데 굳이 그렇게 공평을 가를 필욘 없다. 모든 남성이 가는 것도 아니다. 가지 않으려고 애를 쓰기도 한다. 어떤 사람은 군대에 가기도 하고, 또 어떤 사람은 방위로 갈 수도 있다. 그런 일을 하는 사람도 필요한데, 누군가에겐 그렇지 않다. 이 논의는 공평 수준에만 그친다. '유치한 공평이 아니라, 따뜻한 공정'이라는 표현을 쓴 적이 있다. 남녀 갈등 문제를 조금만 따뜻하게 풀어내면 양쪽이 좋은 결론을 낼 수 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