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농업박물관이 오는 28일 박물관 대회의실에서 ‘보리, 밀, 옥수수: 한국인의 식탁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지난 8일 공개된 기획전 ‘탄수화물 연대기’와 연계한 프로그램으로, 지난 100여 년 동안 한국인이 어떤 곡물을 먹고 살아왔는지 그 변화의 흐름을 입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혼·분식 장려’, ‘식량증산정책’ 등 현대 식문화의 기반을 만든 주요 전환점을 농정사·식문화사·육종학 전문가들이 다양한 시각에서 해석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학술대회는 1·2부로 나뉘어 4개의 발표가 진행된다. 1부에서는 ▲‘한국인은 1945년 해방 이후 어떤 탄수화물을 먹고 살았나?’(주영하,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한민국 옥수수 품종개발사와 현안’(정태욱, 국립식량과학원)이 발표된다.
2부에서는 ▲‘투박하지만 일상에는 없으면 안 되었던 탄수화물, 보리와 옥수수의 과거’(이민재, 국립목포대학교) ▲‘통일벼 보급과 농촌의 식생활 변화’(박선미, 국립경북대학교)가 이어진다.
종합토론에서는 황보명 국립농업박물관 학예본부장이 좌장을 맡아 발표자 전원과 함께 곡물이 바꾼 한국 식문화의 변화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토론에는 김태호 전북대학교 교수, 이석기 농촌진흥청 농업연구관, 송영애 전주문화재단 전통문화팀장, 이태호 이천시청 학예연구사가 참여한다.
오경태 관장은 “이번 학술대회는 곡물이 어떻게 우리 시대의 식탁과 문화를 바꾸어왔는지 확인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리”라며 “앞으로도 농업과 전시에 대한 전문성과 흥미를 동시에 높일 수 있는 학술 프로그램을 꾸준히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류초원 기자 ]



![[에듀플러스]경인여대 패션디자인학과, 일본 NIFT와 '글로벌 패션 ESG 세미나' 개최](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21/news-p.v1.20251121.3e49d0567b4e446a8eed147ac59bc444_P1.jpg)




![[책꽂이] 서울의 시간을 그리다: 두번째 이야기 外](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joongang_sunday/202511/22/8f4f245d-d46a-479c-bdfc-ff92090b0c04.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