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세금융신문=구재회 기자) 한화솔루션 큐셀부문(한화큐셀)이 미국 세관 당국의 부품 통관 지연 탓에 미국 조지아주의 공장 운영을 일시적으로 대폭 축소하기로 했다.
연합뉴스와 AP통신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한화큐셀은 7일(현지시간) 조지아주 전체 직원 3천명 가운데 1천명의 임금과 근로시간을 일시적으로 줄인다고 밝혔다.
조지아주 달튼과 카터스빌의 2개 공장에서 파견직 직원 300명도 해고할 계획이다.
한화큐셀은 미 세관국경보호국(CBP)이 항만에서 수입 부품에 대한 통관을 보류하고 있어 태양광 패널 조립 설비를 정상 가동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고 AP는 전했다.
한화큐셀이 미국으로 수입한 부품 가운데 중국에서 강제노동으로 생산된 자재가 포함돼 있을 수 있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CBP 측은 AP통신의 관련 질의에 답변하지 않았다.
앞서 8월 크리스티 놈 국토안보부 장관은 '위구르 강제노동 방지법'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강제노동으로 생산된 중국산 제품의 미국 반입을 제한하는 내용이다.
AP통신은 공개 보고서를 근거로 미 당국이 지난 6월부터 큐셀의 태양광 셀의 통관을 보류하기 시작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한화큐셀은 강제노동 생산제품을 수입했다는 의혹을 전면 부인하고 있다.
한화큐셀 측은 AP에 "한화큐셀은 공급망 실사 절차가 강력하고, 문서화 시스템도 매우 상세하다"며 "최신 공급망은 전적으로 중국 외에서 조달되고 있다. 기존 공급망도 신장 지구에서 온 자재는 없다. 이는 제3의 감사인과 공급업체 등이 보증한다"고 강조했다.
큐셀은 미 당국과 협력 중이라면서 몇 주, 몇 달 내에 생산을 전면 재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큐셀은 "공급망 운영 정상화가 시작되고 있지만, 운영 효율성을 위해 생산 능력이 정상 수준을 회복할 때까지 인사 조치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오늘 직원들에게 알렸다"고 덧붙였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책의속살] 울산화력 붕괴사고 후폭풍…노후 석탄발전소 10기 해체 '올스톱'](https://img.newspim.com/news/2025/11/06/251106170220288.jpg)



![[속보] 대통령실 "원자력 잠수함, 선체 국내서 건조…연료 美서 공급"](https://img.newspim.com/news/2025/11/07/2511071559289301.jpg)

![[예규·판례] 대법원, 무상 수입 부품 과세 시 '합리적 원가 안분' 적용](https://www.tfmedia.co.kr/data/photos/20251145/art_17624779917314_46a669.jpg)
![[뉴스핌 이 시각 PICK] 울산 화력발전 붕괴 사고 매몰자 1명 사망 外](https://img.newspim.com/news/2025/11/07/251107073620962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