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제21대 이재명 대통령 임기가 시작된 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 봉황기가 게양돼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2025.06.04. [email protected] /사진=최진석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이 사이버안보 현안 관련 회의를 열고 정보보호, 사이버복원력 강화 방안 등을 논의했다.
국가안보실은 1일 "최근 주요 사이버 침해 사고에 대한 대응 현황을 점검하고 국가 정보보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범부처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사이버안보 현안 점검회의(이하 점검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점검회의는 오현주 국가안보실 3차장 주재로 열렸다. 국정원·과학기술정보통신부·외교부·국방부·행정안전부·산업통신자원부·보건복지부·금융위원회·개인정보보호위원회·경찰청 등 10개 부처가 참여했다.
안보실 측은 "새정부 출범 이후, SKT 해킹사고 관련 재발방지대책을 관계부처와 마련했고 서울보증보험 및 예스24 랜섬웨어 감염, 정부시스템 대상 사이버공격 등 최근 발생한 주요 사이버공격에 집중 대응해왔다"며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과 관련한 국민들의 악성 스미싱 피해 방지를 위한 노력을 전개했고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와 관련된 기관 및 시스템의 보안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점검회의에서는 특히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지능화·고도화되는 사이버 위협에 대응할 정보보호 및 사이버안보 강화방안이 논의됐다.
아울러 △민간·공공의 핵심인프라와 중소기업 등 사회 전 분야의 보안 수준을 제고할 방안 △AI 기반 공격 및 소프트웨어(SW) 공급망 위협 등 신 사이버 위협에 대응할 제도개선 방안 △기업·기관의 정보보호최고책임자(CISO) 및 개인정보보호최고책임자(CPO)의 책임성을 강화할 방안 등도 논의됐다.
안보실 측은 "지속적인 사이버보안 역량 강화를 위해 국가배후 해킹조직 대상 능동적 방어 기반을 구축하고 주요국과의 국제협력을 공고히 하는 한편 정보보호산업 육성과 인력양성 및 기술개발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는 데 공감하며 구체적인 정책과제를 마련·시행해 나가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오현주 국가안보실 3차장은 "AI의 발전과 함께 사이버위협도 지능화·고도화되고 있으며 민생의 안정과 기업의 생존, 그리고 국가의 안보를 위해서는 사이버보안이 반드시 담보돼야 한다"고 밝혔다.
오 차장은 이어 "사이버공격에도 사회가 흔들리지 않고 본연의 기능을 이어갈 수 있도록 굳건한 사이버 복원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안보실은 관계부처와 함께 사이버 복원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정책을 지속 마련·추진하겠다"고 덧붙엿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