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디어펜=김종현 기자] 유명 공매도 투자자인 마이클 버리가 오라클과 메타 등 주요 클라우드 및 AI 인프라 제공업체들이 반도체의 감가상각 비용을 과대계상하는 수법으로 이익을 부풀리고 있다고 주장하고 나서 파문이 일고 있다.
11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버리는 전날 X를 통해 "하이퍼 스케일러(hyperscalers) 즉, 주요 클라우드 및 AI 인프라 제공업체들이 반도체의 수명을 실제보다 길게 추정함으로써 감가상각 비용을 과소계상하는 방법으로 이익을 부풀리고 있다"고 밝혔다.
버리는 "자산의 사용 가능 기간을 인위적으로 늘려 감가상각을 축소하는 것은 요즘 흔히 볼 수 있는 회계 사기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엔비디아 칩과 서버를 2~3년 주기로 대규모로 구매하면서 자본 지출을 급격히 늘리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컴퓨팅 장비의 사용 수명을 연장하는 방식으로 회계 처리하고 있다. 그런데 바로 이것이 모든 하이퍼스케일러들이 실제로 하고 있는 일"이라고 했다.
버리는 "2026년부터 2028년까지 이러한 회계 기법으로 인해 약 1,760억 달러의 감가상각 비용이 과소계상될 것이며, 그 결과 업계 전반의 보고된 이익이 부풀려질 것"이라고 추정했다.
그는 특히 오라클과 메타의 경우, 2028년까지 각각 약 27%, 21%의 이익이 과대계상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버리의 주장은 일리가 있지만, 감가상각 추정에는 기업에 상당한 재량이 주어지기 때문에 이를 입증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기업이 반도체나 서버 같은 고가 자산을 선불로 구매할 경우,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 원칙(GAAP)에 따라 자산의 가치가 얼마나 빨리 감소하는지를 자체적으로 추정해 매년 비용으로 나눠서 인식할 수 있다. 자산의 수명을 길게 추정할수록 연간 감가상각 비용은 줄어들게 된다.
버리는 지난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서브프라임 모기지에 대한 공매도로 유명해졌으며, 올해는 AI에 대한 과도한 열기가 1990년대 후반의 닷컴 버블과 유사하다고 거듭 경고하고 있다.
그는 최근 엔비디아와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 등 AI 대표주에 대해 새로운 공매도 포지션을 취한 것으로 보인다. 9월 30일 기준으로 버리는 엔비디아에 대해 약 1억8,700만 달러, 팔란티어에 대해 약 9억1,200만 달러 규모의 풋옵션을 보유하고 있다고 공시했으나 계약의 행사가격이나 만기일은 명시하지 않았다.
![스파크플러스, 상장 접고 미래에셋에 투자금 반환 [AI 프리즘*스타트업 창업자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11/2H0EUO4Y9F_1.jpg)

![[美증시 특징주] 식품업체 트리하우스푸드, 매각 소식에 20%대 폭등](https://image.mediapen.com/news/202511/news_1056885_1762807271_m.png)
